Search

반응형

'함수'에 해당되는 글 4건

  1. 2022.07.31 [자바스크립트]함수 이야기 3탄 -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
  2. 2022.07.24 [자바스크립트]함수 이야기 2탄 - 매개변수(인수) 값 전달, 참조 전달
반응형

함수를 정의하고 매개변수 사용방법에 대해 이전 포스팅에서 같이 살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

우리가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을 배웠는데요.

이름을 만들어 주고 어디선가 이름을 호출을 했을 때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의해 주는 것입니다.

코드상에 함수를 정의했다고 실행이 되는 건 아닙니다.

말 그대로 정의 또는 선언만 한거지요.

그 상태로 두면 아무런 일도 하지 않고 스크립트가 종료되면

같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함수가 실행이 될까요?

바로 다음과 같이 구현하면

여러분이 만든 함수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함수선언*/
function multiple(num1, num2) {
  return num1 * num2;
}
 
/*함수사용*/
multiple(24);
cs

함수 multiple을 선언하고

인수 2, 4를 입력해서 실행했습니다.

결과는 2*4를 실행하고 결과 8이 return 될 겁니다.

 

1
2
3
4
5
6
7
8
9
function mFunction(){
    function multiple(num1, num2){
        return num1 * num2;
    }
    
    console.log(multiple(24));
}
 
multiple(23);
cs

이번 예제는 실행하면 오류가 납니다.

이유는 바로 함수의 범위(scope)와 관련이 있습니다.

만약 mFunction();을 실행했다면 문제없이 8을 출력했을 겁니다.

하지만 multiple함수는 mFunciton함수 내부에 선언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mFunction 내부가 multiple함수의 범위(스코프)가 된답니다.

벗어나면 인식이 안되고

Uncaught ReferenceError: multiple is not defined

이 오류가 날 겁니다.

 

함수도 변수처럼 호이스팅이 되기 때문에

함수를 호출하는 부분이

선언하는 부분보다 먼저 구현이 되어 있어도

오류 없이 잘 실행이 됩니다.

 

1
2
3
4
5
6
7
8
9
mFunction();
 
function mFunction(){
    function multiple(num1, num2){
        return num1 * num2;
    }
    
    console.log(multiple(24));
}
cs

하지만 주의할 부분이 있는데요.

함수가 호이스팅 되는 것은 맞지만

함수를 선언한 경우만 가능하고

함수 표현식(변수처럼)으로 만든 경우는

오류가 발생한답니다.

 

함수를 호출할 때는 인수를 같이 넣을 수 있는데요.

인수는 문자열뿐만 아니라 숫자도 그리고 객체도 가능하답니다.

심지어 함수도 전달할 수 있다는 겁니다.

 

또한 함수는 함수 내부에서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할 수 있습니다.

재귀 호출이라고도 하는데요.

팩토리얼을 계산할 때 사용한다는 예제를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봤을 겁니다.

팩토리얼은 다음과 같습니다.

2! = 2 * 1 = 2
3! = 3 * 2 * 1 = 6
4! = 4 * 3 * 2 * 1 = 24
...

이를 자바스크립트 함수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function factorial(num) {
  if (num <= 1return num;
  else return (factorial(num - 1* num);
}
 
var rst = factorial(3);
 
console.log(rst);
cs

6번 라인처럼 호출하면 된답니다.

 

지금까지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렇게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을 통해서

여러분의 소스에 잘 적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 2가지에 대해 이전 포스팅에서 알아봤습니다.

함수 선언과 함수 표현식이 있었는데요.

함수를 만들 때 매개변수(파라미터)에 대한 이야기를 더 해볼까 합니다.

 

값과 참조

자바스크립트 외 다른 언어에서도 들어봤을 내용일 텐데요.

값의 전달 그리고 참조에 의한 전달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매개변수에 값을 그냥 전달하면 될 거 같은데

값의 전달은 뭐고, 참조에 의한 전달은 어떤 의미일까요?

예제를 통해 쉽게 접근해보겠습니다.

 

매개변수에 값을 전달.

하얀 A4용지가 있습니다.

정보를 담기 위해 1장을 가져옵니다.

다른 종이와 혼동되지 않기 위에 상단에 이름을 적습니다. (var name)

이 종이는 name이라는 이름이 지정되었고

아직 어떤 내용도 담기지 않았습니다. (undefined)

이제 종이에 "홍길동"이라고 적습니다. (name = "홍길동")

변수가 선언 및 할당되었습니다. (var name = "홍길동";)

 

이제 이 name을 함수로 전달해보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중요** 기본 자료형은 매개변수로 값으로 전달됩니다.

무슨 의미일까요?

name이라는 변수는 기본 자료형인 String입니다.

그래서 값으로 전달해야 합니다.

전역에 선언된 name과 연관 짓지 않고 따로 다른 종이에 복사해서

값이 복사된 종이를 건네게 됩니다.

이 방식이 값을 전달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함수는 복사된 값(종이)을 받았기에

내부에서 값을 바꾸더라도 복사한 종이이기에

밖에 원본 종이의 값은 바뀌지 않습니다.

함수 내부에서만 복사된 종이의 값을 변경하고 버리기 때문이지요.

다음 예를 통해 확인해볼게요.

1
2
3
4
5
6
7
8
9
10
11
12
  function chg(a) {
          a = '123';
              
      return a;
  }
  
  
  var a = 'abc';
  
  console.log(a);
  console.log(chg(a));
  console.log(a);
cs

함수 내부에서 전역(또는 함수 밖에서) 선언된 

기본 자료형 변수를 매개변수로 받으면 함수 내부에서만

수정이 되고 함수 범위를 나오면 다시 

원래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값을 전달한다는 의미입니다. 

 

참조에 의한 전달.

그렇다면~

참조에 의한 전달은 어떤 의미일까요?

언어적으로 해석해 보면 참조만 한다는 건데...

다시 종이 이야기로 가봅니다.

이번에는 기본적인 종이가 아닌 종이 묶음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책이나 노트 등을 종이 묶음으로  볼 수 있는데요.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배열이나 객체 등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네요.

이렇게 종이 묶음은 복사해서 전달하기에는 양이 많습니다.

그래서 종이 묶음 목차만 건네준다고 상상해볼게요.

함수는 실제 복사본 데이터도 아니고 목차만 받았습니다.

어디에 그 값이 있다는 정보입니다.

그래서 함수 내부에서 해당 종이 묶음 중 어떤 목차 부분의 값을 수정했습니다.

그렇다면 복사본 종이도 받지 않았는데 값은 어떻게 변경되어야 할까요?

해당 위치(메모리)에 있는 함수 밖 종이 묶음의 값을 수정합니다.

그 위치는 메모리의 위치(주소)로 생각하면 됩니다.

즉 배열 또는 객체 같은 데이터를 매개변수(인자) 값으로 받으면

해당 정보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실제 원본의 값을 수정하게 된다는 의미가

참조에 의한 전달입니다.

다음 예를 통해 확인해 볼게요.

1
2
3
4
5
6
7
8
9
10
11
  function chg(obj) {
      obj.name = 'KOREA';
  }
  
  var obj = {id : "001"name : "USA"};
  
  console.log(obj.name);
  
  chg(obj);
  
  console.log(obj.name);
cs

USA였던 값이 함수를 호출하고 난 뒤

전역 객체인데도 KOREA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런 방식을 참조에 의한 전달이라고 합니다.

이제 값과 참조에 의한 전달이 이해되셨나요?

값에 의한 전달이라도 this를 사용하면

전역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this는 전역 변수를 가리키고 있거든요.

다음 예처럼요.

1
2
3
4
5
6
7
8
9
10
11
  function chg(obj) {
      obj.name = 'KOREA';
  }
  
  var obj = {id : "001"name : "USA"};
  
  console.log(obj.name);
  
  chg(obj);
  
  console.log(obj.name);
cs

결과는 첫 예제와 다르게

값이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지금까지 함수 매개변수로 값에 의한 전달과 참조에 의한 전달에 대해

예제를 통해 살펴봤습니다.

즐 코딩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