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입니다.

오랜만에 C 프로그램 포스팅을 준비하는데 Visual Studio Code(VSCode)에 세팅이 안되어 있더군요.

별생각 없이 VSCode에서 C로 코딩하고 저장 후 컴파일을 했는데 확장팩을 설치하라는 메시지가 뜨더군요.

확장팩을 설치했음에도 컴파일이 안 돼서 생각해 보니 Visual Studio Code(VSCode)는 그냥 에디터였어요.

파이썬도 자바도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제대로 실행이 됩니다.

그렇다면 C/C++도 마찬가지!그래서 검색해 봤습니다.

 

이 포스팅은

VSCode에서 C/C++을 사용하고 싶은 개발자,

MinGW를 설치하는데 bin이 누락되어 당황한 개발자를 위해 

최대한 쉽게 따라 하며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해 봤습니다.

Visual Studio Code(VSCode)에서 C/C++ 세팅하기.

 

MinGW w64 설치 시도

Visual Studio Code(VSCode)에서 C/C++ 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MinGW를 설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해당 사이트에 가서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었습니다.

MinGW 사이트 ( https://www.mingw-w64.org/ )

압축을 푼 폴더에 가면 bin 폴더가 있고 환경변수에 넣으라고 하는데 bin 폴더가 사라졌습니다.

아무리 찾아도 bin 폴더가 없다

bin 폴더가 실종되었습니다.

누락된 건가? 버그인가?

다른 버전을 몇 개 받았지만 역시 없다.

내가 못 찾는 건가?

어딨지? bin?

좀 더 인공지능적으로 검색해 봤습니다.

최근 정보에 따르면 MinGW의 최신 버전이 더 이상 독립 실행형 설치 파일로 제공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MSYS2와 같은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설치하도록 권장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어쩐지 이상하다 했습니다.

검색한 정보들에서 찾은 대부분 MinGW 설치글은 bin 폴더가 있던 시기에 대부분 작성되었더군요.

그래서 혼란이 왔던 겁니다.

"bin 폴더 없음"으로 검색한 개발자라면 공감할 겁니다.

비주얼스튜디오코드(VSCode) 사이트는 어떤가 확인해 보니 역시 MSYS2를 권장하더군요.

그래서 Visual Studio Code(VSCode) 사이트의 설치 방법대로 진행해 볼게요.!!

혹시 최신 MinGW에서 bin 찾으신 분 있음 댓글 주세요~~!!

Visual Studio Code(VSCode)에서 정보 찾기

해당 사이트로 이동해 봅니다. (https://code.visualstudio.com/docs/cpp/config-mingw)

왼쪽 아래를 보면 C++메뉴가 보입니다.

C++

C++을 클릭하면 더 많은 상세 메뉴가 보입니다.

Windows 운영체제에서 설치하기 때문에 GCC on Windows를 클릭합니다.

웹페이지가 열리면 가장 위 제목이 보인다.

영어로 되어 있지만 번역하면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Visual Studio Code에서 MinGW를 사용해 C/C++ 설치하기

 

VSCode 설치하기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VSCode(VisualStudioCode)입니다.

기존에 설치 관련 글을 확인해 보세요.

2023.05.20 - [Software/Settings] - VSCode 설치하는 방법. (visual studio code,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VSCode 설치하는 방법. (visual studio code,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입니다. 보통 이클립스(eclipse)에서 많은 개발을 했었고 예전에는 울트라 에디트나 에디트 플러스에서 코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요즘은 프론트엔드 뿐만 아니라 백

tiboy.tistory.com

VSCode를 설치했다면 실행합니다.

 

C/C++ 확장팩 설치. (extension)

Ctrl + Shift + X 키를 누릅니다. (키보드 왼쪽 아래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바로 위 Shift도 누른 상태에서 X를 누름)

또는

제일 왼쪽 아이콘 중 위 모양을 클릭합니다.

"C++"로 검색합니다.

파란색 "설치"버튼을 클릭하면 설치가 됩니다.

설치 시간은 좀 걸립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이미지처럼 파란색 버튼이 "사용 안 함"으로 바뀝니다.

그러면 설치가 잘 된 겁니다.

 

MSYS2로 MinGW 최신 버전 설치

MSYS2는 최신 GCC, MinGW-w64, 및 유용한 C++ 도구와 라이브러리 네이티브 빌드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코드 컴파일, 디버그 및 인텔리센스(IntelliSense)와의 호환 설정에 필요한 도구도 갖출 수 있다고 합니다.

MSYS2 사이트로 이동해서 설치하기. ( https://www.msys2.org/ )

위 이미지에서 .exe 파일을 클릭하면 됩니다.

25년 2월 21일 자 버전이네요.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해당 폴더로 이동합니다.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우측 클릭을 합니다.

Microsoft Defender로 한 번 검사해 줍니다. (필수는 아닙니다 ^^)

참고로 MSYS2는 Windows 8.1 이상, 64bit 사양이 필요합니다.

이제 해당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합니다.

실행하면 나타나는 첫 번째 화면입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설치 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Browse... 를 클릭하면 다른 위치에 설치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저 경로 그대로 진행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시작 메뉴에 등록한다는 의미입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설치가 진행됩니다. 

빨간색 바가 끝까지 가면 100% 설치가 완료됩니다.

시간이 좀 걸리므로 기다립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위 화면이 나옵니다.

바로 세팅을 해야 하므로 Run MSYS2 now. 가 체크된 상태로 Finish를 클릭합니다.

UCRT64

위 콘솔화면이 뜨고 UCRT64 ~가 나오면 됩니다.

혹시 콘솔화면을 껐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됩니다.

윈도우 키를 클릭합니다. 

우측 상단의 "모두 >" 버튼을 클릭합니다.

MSYS2 폴더를 찾으면 제일 하단의 MSYS2 UCRT64를 클릭합니다.

같은 콘솔 화면이 나타날 겁니다.

콘솔 화면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pacman -S --needed base-devel mingw-w64-ucrt-x86_64-toolchain

입력하기 힘들면 복사한 뒤 콘솔 화면에 우클릭 후 paste를 클릭하면 됩니다.

위 화면이 나오면 오류 없이 진행 중입니다.

엔터를 누릅니다.

Proceed with installation? [Y/n]이 나오면 위 화면처럼 Y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위 화면처럼 다시 $ 프롬프트가 나옵니다.

이제 환경설정을 합니다.

윈도우 키 + R을 누르면 실행창이 뜹니다.

sysdm.cpl을 입력하면 시스템 속성 창이 뜹니다.

우측 하단의 환경 변수(N)... 을 클릭합니다.

위 사용자 변수 중 path에 추가할 정보가 있습니다.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고 경로를 입력합니다.

C:\msys64\ucrt64\bin

위 경로는 설치할 때 경로를 의미합니다.

설치 경로를 다르게 했다면 맞게 넣어주세요.

이제 확인을 연속 눌러서 시스템 속성을 닫으면 됩니다.

환경 변수가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윈도우 + R 키를 누른 후 실행창이나 하단의 검색에 cmd를 입력합니다.

gcc --version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잘 설치되었다면 위 화면처럼 버전이 나옵니다. 14.2.0

혹시 안되면 환경 변수 경로가 맞는지 다시 확인해 보세요.

그래도 안되면 시스템 변수의 path에도 같은 방식으로 추가해 봅니다.

여기까지 오느라 수고했습니다.

VSCode와 확장팩을 설치했습니다.

MSYS2와 MinGW v64 설치 및 환경 변수 설정도 끝났습니다.

 

VSCode에서 C/C++ 코딩하기.

이제 Visual Studio Code(VSCode)에서 실제 C와 C++ 코드를 작성해 봅니다.

빌드, 컴파일 및 실행까지 잘 되는지 확인해 봅니다.

윈도우 + R을 눌러 실행창을 연 뒤 cmd를 입력합니다.

프로젝트를 생성할 폴더를 만들고 이동합니다.

code. 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VSCode가 해당 폴더를 기준으로 실행됩니다.

혹시 신뢰에 대한 메시지가 뜨면 당황하지 마세요.

여러분이 작성한 폴더이기에 체크 후 "예, 작성자를 신뢰합니다"를 클릭합니다.

왼쪽 위를 보면 HELLO 옆에 파일 추가 버튼이 있습니다.

클릭하고 HelloWorld.c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오른쪽을 보면 HelloWorld.c 탭이 생성되고 아래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에디터가 활성화됩니다.

1번 줄부터 코딩을 시작합니다.

위 소스와 같이 코딩을 했다면 Ctrl+s 를 눌러 저장합니다. (메뉴에서 저장을 클릭해도 됩니다)

VSCode 우측 상단을 보면 삼각형 모양의 실행 버튼이 있습니다.

삼각형 옆에 작은 옵션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Run C/C++ File를 클릭합니다.

가운데 다음과 같은 선택 옵션이 나옵니다.

"C/C++: gcc.exe 활성 파일 빌드 및 디버그"를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빌드되는 상태가 하단에 나옵니다.

이 결과가 나왔다면 왼쪽 목록을 확인합니다.

왼쪽 목록에 아래와 같은 HelloWorld.exe파일이 새로 만들어졌을 겁니다.

다시 우측 삼각형 실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HelloWorld가 잘 출력됩니다.

 

C++ 코딩해 보기

C++도 비슷하지만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먼저 C++용 폴더를 생성합니다.

VSCode에서 제공한 C++ 코드를 그대로 사용해 보겠습니다.

이제 우측 삼각형 실행 버튼 옵션에서 Run C/C++ Files를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은 옵션이 나옵니다.

C++은 C와 다르게 g++.exe가 있는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gcc.exe는 빌드 오류가 납니다.

(C/C++: g++.exe 활성 파일 빌드 및 디버그)

빌드 결과가 나오고 HelloWorld.exe 파일이 생성됩니다.

우측 삼각형 버튼을 클릭하면 실행되고 결과가 맞게 나옵니다.

Hello C++ World from VS Code and the C++ extension! 

혹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컴파일러를 잘못 선택한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는 수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왼쪽 .vscode를 보면 tasks.json이 있습니다.

파일을 열면 아래 화면처럼 나옵니다.

다음과 같이 수정하면 됩니다.

label, command에서 gcc를 g++로 바꿔줍니다.

저장 후 우측 삼각형 버튼을 클릭하면 정상 실행됨을 알 수 있습니다.

결론은 C는 gcc/g++ 둘 다 가능하지만 C++는 g++로 선택해야 오류가 없습니다.

둘 다 g++로 하면 좋겠네요.

이제 설정을 마쳤습니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이제 우리는 VSCode에서 열심히 C/C++ 코딩을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모두 열코딩 하세요.

 

궁금한 사항, 잘못된 부분은 댓글 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입니다.

최근 인공지능(AI)이 발달하면서 chatGPT에서 소스도 만들어 준다는 글을 읽었습니다.

그와 동시에 코더의 자리도 AI에게 빼앗길 수 있다. 프로그래머(개발자)도 인공지능이 대체해서 사라질 수 있는 직종이라는 얘기도 같이 들리더군요.

 

프로그래머(개발자)로서 그런 이슈를 보고 잠시 생각을 해봤습니다. 정말 나의 직업은 사라지는 것일까?

그전에 구분지어야 할 직업이 있습니다. 바로 개발자(프로그래머)와 코더(coder)입니다.

대부분 같은 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실 겁니다. 엄밀히 말하면 다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서 사용자의 니즈(needs), 요구, 를 분석하고 해결해 주는 직업이 프로그래머(개발자)라고 생각합니다. 반면 코더(coder)는 정해진 규칙대로 또는 명세서대로 프로그래밍 문법에 맞게 코딩을 하는 직업입니다. 

어떤 부분이 다른지 더 쉽게 실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프로젝트에 투입되어서 개발을 하다 보면 크게 2가지 타입의 코딩하는 사람을 볼 수 있습니다.

고객과 협의도 하고 협력사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어느 곳에 적용하고 공통화 및 추상화를 할지 고민하고 개발하는 프로그래머(개발자)가 있습니다. 보통 실력자라고 합니다. 개발 PL 또는 공통단 업무를 개발하는 능력자입니다.

공통화와 모듈화를 해서 표준을 만들고 각 화면마다 또는 소스마다 어떻게 개발해야 하는지 구조와 샘플링 작업을 해주고 나면 그 패턴대로 찍어내듯 코딩하는 코더(coder)가 있습니다.

코더는 보통 PL 또는 공통 리더 개발자의 지시대로 표준화된 환경에서 반복적 작업을 합니다.

조회하는 화면에서 조건에 값을 꺼내고 버튼에 이벤트를 붙이고 결과를 받아서 화면에 뿌리는 작업, 회원가입 같은 다양한 값을 화면에 입력받아서 서버에 전달하는 작업 등이 프런트엔드에서 코더가 하는 역할이라 할 수 있습니다. 

화면단에서 값이 넘어오면 컨트롤러와 서비스단을 통해 구현부에서 적절한 SQL을 호출하도록 연결하거나 값 검증 기능을 붙여서 입력 또는 출력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코딩하는 코더도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공통화하거나 큰 흐름을 모르더라도 작업할 파트(부분)만 기능적으로 샘플을 따라서 잘 적용하고 작동하게만 하면 됩니다. 

이런 역할로 인해 코더는 AI(인공지능)으로 대체가 가능하다는 의견이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머처럼 고객과 협의를 하고 결과를 도출한 뒤 시스템에 어떻게 적용할지 표준과 공통을 정리하고 코더가 작업할 수 있는 프레임을 만들어주는 것은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실제 화면 또는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된 코딩은 AI(인공지능)에게 만들어 달라고 할 수 있겠지요.

사실 프로그래머(개발자)가 처음부터 난이도 있는 업무를 할 수 없습니다. 처음에는 당연히 리더의 계획에 따라 코더로 시작해야 합니다. 그리고 꾸준한 학습(공부)을 통해 본인의 개발 능력을 향상하고 다양한 프로젝트와 경험 많은 리더에게 현장에서 필요한 노하우를 습득하고 익히는 것도 중요합니다. 프로그래머가 쉽게 되는 직업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구인 사이트를 보면 초급, 중급, 고급에 자바, 리액트 등등을 언급하면서 프로젝트 인력을 구합니다. 코로나 시즌에 갑작스러운 개발 수요가 높아서 등급별 인건비도 오르면서 억대 연봉 이야기가 여기저기 들리기도 했고 인력 수급에도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프로젝트도 별로 없고 그로 인해 인건비도 내려가고 권고사직을 하는 회사들도 종종 보이기도 합니다. 특히 개발자 포털이나 구직 사이트 보면 몇 개월 동안 일이 없다는 이야기가 많이 들려옵니다.

사실 여기서 한 가지 생각할 부분이 있습니다. 진정 프로그래머의 수요는 항상 있습니다. 그리고 유행 따라 주가처럼 오르락내리락하는 인건비와 구인에 대한 상황에 휘둘리는 직업은 코더입니다. 

경력이 10년이 넘은 프리랜서 몇 명을 만난 적이 있습니다. 같이 프로젝트를 하는데 PM 인맥으로 뽑았더군요. 개발을 정말 잘한다고 하더군요. 그러던 어느 날 내가 공통으로 만들어준 프로그램을 호출하는데 오류가 났는데 도와달라고 하더군요. 가서 기본적인 디버깅을 하고 오류를 체크해서 알려줬는데 그런 작업을 할 줄 모르더군요. 일 잘하는 개발자들이라 하는데 오류 디버깅도 못하는 것을 보고 잠깐 당황했습니다. 고급 등급이었거든요. 그래서 좀 지켜보니 등급만 높은 코더였습니다. 고급인데도 주체적으로 진행하지 못하더군요.

프로젝트에서 초급 개발자들을 만나면 항상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우리의 업은 꾸준히 공부하고 연습해야 직급이나 등급이 올라가서 자기 역할을 잘할 수 있다고.

지금 내 옆에 있는 사원 개발자는 개발자가 되고 싶다면서 하루 종일 놉니다. 퇴근하고도 논답니다. ^^

자기 인생은 본인이 책임지는 것이기에 그러려니 하고 있습니다.

성공하는 길은 어찌 보면 어렵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현실에 적응만 하고 미래를 위한 학습은 하지 않습니다. 또한 학습은 하지만 잘못된 학습(성장과 성공에 필요 없는)으로 시간만 낭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한 목표를 세우고 프로의식과 목적을 가지고 꾸준히 학습한다면 성공은 따라올 수밖에 없습니다.

이제 코더(coder)로 돈 벌고 등급 높은 코더(coder)가 되지 말고 꾸준한 학습을 통해 프로그래머(개발자)로 성장해서 멋진 직업인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 포스팅이 끝나면 리액트 학습을 시작합니다.

학습이 끝나면 리액트를 처음 하는 친구들을 위한 포스팅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 멋진 프로그래머가 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