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은 가정법에 나오는 한 부분인데요.

바로

Without + 명사(구)

또는

But for + 명사(구)

또는

If it were not for + 명사(구) [과거]

또는

If it had not been for + 명사(구) [과거완료]

로 변환하는 방법과

If의 생략과 도치에 대해 

가볍게 살펴보겠습니다.

읽어 보시고 다음 글이 기대된다면

좋아요구독 부탁드려요~ 

 

Without + 명사(구)

명사(구)가 없다면

으로 해석합니다.

같은 의미지만 다른 표현은

But for,

과거면 If it were not for,

과거완료면 If it had not been for

가 있는데 

의미는 같답니다.

예문으로 확인해 볼게요.

Without + 명사(구)

= But for + 명사(구)

= If it were not for + 명사(구) [과거]

또는 If it had not been for + 명사(구) [과거완료]

해석 : 명사(구)가 없다면, 

Without his support,

we couldn't finish this project.

(그의 지원이 없었다면,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끝낼 수 없었을 거야)

= But for his support,

we couldn't finish this project.

= If it were not for his support,

we couldn't finish this project.

이렇게 변환해도 의미는 같답니다.

과거완료형도 예문을 보겠습니다.

 

Without the smartphone, 

I would have gotton lost.

(스마트폰이 없었다면,

길을 잃었을 거야)

= But for the smartphone,

I would have gotton lost.

= If it had not been for the smartphone,

I would have gotton lost.

이렇게 3개의 문장도

같은 의미라서

변환이 가능하답니다.

 

 

If 생략과 도치

가정법(조건문)에서

were 또는

had + p.p 또는

should + 동사원형

인 경우는

If를 생략하고

주어와 동사의 위치를 바꿀 수 있습니다.(도치)

 

예문을 통해서 확인해볼게요.

 

If I were you, I would study harder.

(내가 너였다면 더 열심히 공부했을 텐데)

조건부의 동사가 were이므로

If를 생략하고 주어, 동사 도치

가능합니다.

Were I you, I would study harder.

과거 완료의 경우는

다음 예제를 통해 확인해봅니다.

If he had studied hard, 

he would have become a doctor.

(만약 그가 열심히 공부했었다면,

그는 의사가 되었을 텐데.)

 이 문장은 had + p.p라서

역시 if 생략과 주어, 동사 도치

가능합니다.

Had he studied hard, 

he would have become a doctor.

이렇게 변환해도

의미가 같습니다.

 

중요한 점은

영어 독해를 하는 경우

이렇게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고

if가 생략되어 나오는 경우

이런 정보를 알지 못한다면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는 거죠.

자주 보고 익히면 눈에 쏙쏙 들어온답니다.

위 예제들을 잘 읽어보고

서로 변환할 수 있도록 

꼭 여러 번 손으로 써보세요.

마지막으로

초반에 나온 

If it were not for~

If it had not been for~

조건부 동사가 were, had + p.p라서

if 생략과 도치가 가능하답니다.

아래처럼요...

Were it not for his support,

we couldn't finish this project.

 

Had it not been for the smartphone,

I would have gotton lost.

 

지금까지 Without(But for)~,

if 생략과 도치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 설명할 if 조건문(가정법)

혼합가정법(혼합조건문)입니다.

읽어보시고

다음 이야기가 기대되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려요.

두 개의 다른 시간의 문장

하나의 문장으로 나타내는데

기본적으로 0번째 조건문(zero conditional)

일반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조건문이고,

1번째 조건문(first conditional)

현재 상황에 대한 조건문이며,

2번째 조건문(second conditional)

현재와 반대되는 또는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조건문이며,

3번째 조건문(third conditional)

과거의 상황에 대한 조건문입니다.

 

2020/06/25 - [Education/English(영어)] - [영문법]가정법, if 조건문(if conditional) 4가지 타입 이해하기 편.

 

[영문법]가정법, if 조건문(if conditional) 4가지 타입 이해하기 편.

만약 내가 중학생으로 돌아간다면, 이런 상상 많이 해보셨죠? 이렇게 불가능한 일을 상상하거나, 예전 일을 후회하거나, 조건에 의한 앞으로의 의도나 의지를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IF" 에

tiboy.tistory.com

 

혼합조건문(혼합가정문)은 위 4가지의 구조가 아닌

시간의 조건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

시간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부분이지

동사의 시제와 혼동하면 안 된다는 겁니다.

시간과 시제는 같은 의미가 아닙니다.

I ate an apple when I visited his house.

I was eating an apple when you called yesterday.

이 두 문장을 보면 시제는 다릅니다.

과거 시제와 과거진행시제입니다.

하지만 시간적으로는 그냥 과거로 같습니다.

이 부분을 설명하는 이유는 조건문이

시제는 과거지만

현재의 상태를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If I were you, I would take it.

여기서 조건문의 시제는

were로 과거 시제입니다.

하지만 의미적으로 시간

현재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내가 만약 너라면~ 이렇게요.

이제 시간과 시제에 대해 이해되셨나요?

 

혼합가정문(혼합조건문)은 시제가 아닌

시간이 다른 조건부와 결과부를 구성한다고 보면 됩니다.

3가지 타입으로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1번째 혼합타입은 과거-현재 입니다.

If I had finished my homework last week, I would be free now.

만약 내가 지난주에 내 숙제를 끝마쳤었다면(과거),

나는 지금 자유일텐데..(현재)

이 문장의 시간을 보면 앞의 조건문은 과거입니다.

그리고 결과 문은 현재입니다.

원래는 I would have been free.가

3번째 조건문으로 과거 시간으로 맞는 건데,

혼합에서는 현재시간으로 표현해서

과거에 숙제를 이미 마쳤다면(완료),

지금은 편하게 쉬고 있을 텐데..

라는 의미가 됩니다.

차이점은,

과거-과거로 문장을 만들면

과거에 숙제를 이미 마쳤다면(완료),

과거에 편하게 쉬고 있었을 텐데(완료)가 되며

그냥 옛날이야기를 하는 거고,

과거-현재가 되면

과거에 이미 숙제를 마쳤다면,

지금 이렇게 힘들지 않고 편하게 쉬고 있을 텐데(현재)가 되며

과거의 일로 현재 심정을 말하는 구조가 되는 겁니다.

방금 설명은 과거 조건에 현재 결과의 문장입니다.

 

2번째 혼합타입은 현재-과거 입니다.

현재 조건에 과거 결과의 문장도 가능합니다.

If I were you, I would have eaten that food yesterday.

만약 내가 너라면(현재),

어제 그 음식을 먹었었을 텐데(과거)

내가 너라면

과거의 그때 그렇게 했었었을 거라는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이나

불가능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내가 너라면 그때 그렇게 했었을 거다.

이런 의미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3번째 혼합타입은 미래-과거 입니다.

미래의 조건에 대한 과거의 결과 문도 가능합니다. 

If I had a plan tomorrow, I wouldn’t have had a drink yesterday.

만약 내가 내일 약속이 있다면, (미래)

어제 술을 마시지 않았었겠지(과거)

이 문장은 조건절이 미래입니다.

내일이 회사 창립일로 쉬는 거라면

어제 휴가를 쓰지 않았었겠지.

이런 느낌 아닐까요?

 

지금까지 가정법(if 조건문, 혼합가정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쉽게 이해가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