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반응형

'Education'에 해당되는 글 47건

  1. 2020.06.25 [영문법]가정법, if 조건문(if conditional) 4가지 타입 이해하기 편.
  2. 2020.05.16 [영문법]Until/till 과 by를 쉽게 구분해서 사용하기 편.
반응형

만약 내가 중학생으로 돌아간다면,

이런 상상 많이 해보셨죠?

이렇게 불가능한 일을 상상하거나,

예전 일을 후회하거나,

조건에 의한 앞으로의 의도나 의지를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IF"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f는 만약이라는 의미로 조건으로 사용하는데

가정한다면?이라는 말로

가정법이라고도 표현합니다.

그 반대로 직설법이라고도 하지요.

예를 들어,

만약 내가 술을 안마셨다면

내가 운전했을 텐데.. 미안~

이렇게 이미 술은 마셨지만

안 마셨다는 가정(조건)으로

본인의 의사를 표현할 때  if를 사용합니다.

이 문장을 직설법으로 표현한다면

내가 술을 마셔서 운전을 할 수 없어. 가 됩니다.

그럼 이제 if 조건문 4가지 타입을 보겠습니다.

 

If I get hurt, I go to the doctor.

If I get hurt, I will go to the doctor.

If I got hurt, I would go to the doctor.

If I had been hurt, I would have gone to the doctor.

 

이렇게 4가지 형식으로 조건문을 사용하는데요.

zero conditional, first conditional,

second conditional, third conditional

이렇게 정의합니다.

우리가 배우는 영문법은

가정법, 조건문으로 배우고 있습니다.

 

Zero Conditional (0번째 조건부)

If I get hurt, I go to the doctor.

(만약 내가 다치면, 나는 의사한테 간다)

이 문장을 살펴보면 If절도 현재시제, 결과절도 현재시제입니다.

현재시제는 일반적 사실, 습관 등을 표현합니다.

그래서 조건에 따른 결과는

당연한 사실이고 이치여야 합니다.

더운 여름에 얼음을 밖에 꺼내 놓으면

녹는다는 사실을 표현하는 경우에 말이죠.

즉 이 조건문은 둘 다 현재시제를 사용했고 의미를 확인해 보면

평소에 나는 다치면 의사한테 간다는 표현을 한 겁니다.

0번째 조건부를 사용하면 됩니다.

 

First Conditional (1번째 조건부)

If I get hurt, I will go to the doctor.

(아프면 의사에게 갈 것이다.)

현시점을 기준으로 아프면

의사에게 가겠다는 의지를 말합니다.

만약 어떻게 한다면 앞으로 어떻게 할

의지나 의도가 있다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조건에 의해서 결과부의 내용은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의지나 의도를 will을 사용해서 표현하고

1번째 조건부를 사용합니다.

 

Second Conditional (2번째 조건부)

If I got hurt, I would go to the doctor.

(만약 내가 다쳤다면, 나는 의사한테 갈 것이다.)

If he knew her number, he would call her.

(만약 그가 그녀의 전번을 알았다면, 그는 전화했을 텐데..)

현재가 중요합니다.

현재 다친 것은 아니지만 만약 다쳤다면,

의사에게 갔을 거라는 기존의 의지나 의도를 표현합니다.

Would는 과거 어느 시기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의지나 의도를 갖고 있었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랬었다면 그렇게 했을 거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두 번째 문장은 만약 그가 그녀의 전번을 알았다면

(현재 모르는 상태라는 거죠)

그녀에게 전화했을 의지나 의도가

전부터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전번을 모르니 의지나 의도만 있을 뿐 하지 못한다는 의미)

 

Third Conditional (3번째 조건부)

If I had been hurt, I would have gone to the doctor.

(내가 다쳤었더라면, 난 의사에게 갔었을 거야)

이 문장은 과거완료로 조건문을 시작합니다.

과거 완료는 이미 완료(끝)가 된 상황을 말하는 것이고

그 뒤 상황도 현재 완료

그 또한 완료가 된 상황을 이야기합니다.

옛날이야기인데 못했거나 그 당시 희망사항

이야기할 때 사용한다고 보면 됩니다.

만약 내가 그때 이 수동 용지로 로또를

구매했었더라면, 1등이 되었을 텐데.. 아쉽네”

 

기본 4가지의 조건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당연히 그렇게 하면 그렇게 되거나 그렇게 하는 거면

0번째 조건문 (현재-현재)을 사용하고

그렇게 하면 앞으로 그렇게 할 의지나 의도가 있을 때면

1번째 조건문(현재-will)을 사용하고

만약 그렇게 되었다면 그렇게 할 텐데.. 는

2번째 조건문(과거-would/could..)을 사용하고

예전에 그렇게 되었더라면 그렇게 되었을 텐데로 표현한다면

3번째 조건문(과거완료-would/could.. + 현재완료)로 사용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if 조건절(if conditional, 가정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 이야기도 기대되시면

구독좋아요 부탁드려요.

즐기는 영어공부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 티보이입니다.

제목 그대로 두 전치사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이 궁금할 텐데요.

"Until(till)" 과 "by"는 "~까지"로 사용되는데 쉽게 구분하는 방법을 같이 알아보도록 할게요.

 

바로 예문으로 보겠습니다.

항상 방을 더럽게 쓰는 딸내미한테 아빠가 화가 나서 혼을 냅니다.

A.    내일 아침까지 방 청소해 놔!

B.     내일 아침까지 방 청소하고 있어!

 

같은 듯 다른 느낌입니다.

여기서 "until/till""by"를 구분 지을 수 있답니다.

 

 

A지금 하던지 이따 하던지 날 새서 하던지 그건 알아서 하고 중요한 건 내일 아침까지 깨끗한 방으로 만들라는 의미입니다. 영문법책을 보면 기한이라고 표현합니다.

B지금부터 내일 아침까지 딴짓하지 말고 방 청소만 하고 있으라는 말입니다. 계속된 상황을 요구하는 겁니다.

영문법책을 보면 연속이라고 표현합니다.

 

A는 by를 사용하면 되고 B는 until/till을 사용하면 됩니다.

 

덧붙여 설명을 해보면,

"Until/till"의 이미지는 전부터 쭉 하던 것until/till 뒤의 상황이나 조건까지 해서 끝난다는 겁니다.

 

"By""By"뒤의 상황이나 조건에 집중하고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제 다양한 예제를 통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I read a newspaper until Jack arrived.

나는 신문을 읽었습니다. Jack도착하는 그 시점까지 쭉~ 읽고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도착 전까지 신문을 읽고 있었다는 연속적인 의미입니다.

You have to postpone the meeting until next week.

다음 주까지 미팅을 연기해야 한다.

다음주까지 미팅을 연기하고 있는 연속적인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음주까지 미팅을 해야 한다는 표현을 하려면 "by"를 사용합니다.

 

I remained in Paris until April.

4월까지 파리에 남아 있었다는 의미로 파리를 떠나지 않고 계속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Could you finish this work by 9 o’clock.

Could you keep this work until 9 o’clock.

첫 번째 문장은 이 일을 끝낼 수 있는데 9시까지라는 기한을 의미하는 겁니다.

현재 you다른 일을 하거나 놀고 있다면 첫번째 문장처럼 물어볼 수 있겠죠?

9시까지 이 일을 할 수 있어요?

 

두 번째 문장은 9시까지 이 일을 계속할 수 있는지 묻는 겁니다.

 

이제 until/till 과 by를 구분할 수 있게 되었네요.

 

이렇게 구분 지어 예문을 찾다 보니 재미있는 상황이 떠올랐어요.

 

저 빵집은 9시까지 문을 열기에 빵을 살려면 9시까지는 가야 해.

이 문장을 영작하면 until과 by가 더 명확히 보일 겁니다.

 

That bakery is open until 9 o'clock,

(9시까지 계속 영업하고 있는 상황 표현)

so you have to go by 9 o'clock to buy bread.

(9시에 영업이 끝나니 그전까지 언제든 가면 되는 상황 표현)

 

너무 공식화해서 외우지 말고 한 단어의 본래의 의미를 이해하고 다양한 예문을 반복적으로 보면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이미지화될 겁니다.

이해 되셨어유?? ㅎㅎ

마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