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반응형

'Education'에 해당되는 글 47건

  1. 2020.05.02 [영문법]현재완료시제(The present perfect tense) 쉽게 이해하기 편.
  2. 2020.05.01 [영문법]동사원형 vs 부정사 vs 원형부정사 (verb) 이해하기 편.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 티보이입니다.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영어 공부를 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싶어 포스팅을 하게 되었어요.

보통 아이들이 영어, 특히 영문법을 어려워하니 영어를 싫어하고 어렵다고 안 하려고 하더군요.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게 그때그때 내용들을 쉽게 설명한 것이니 참고로 읽어보면 도움이 될 거예요.

이번에 설명할 부분은 동사의 시제 중 현재완료시제에 대한 겁니다.

시제라니

시제는 시간의 표현이라고 해볼게요.

말과 문장을 보고 예전에 상황을 표현하는 건지, 지금 그렇다는 건지,앞으로 그럴 거라는 건지…를 구분하는 게 보통은 서술어가 담당합니다. 시간 관련 부사를 사용해서 의미를 더하기도 하지요? Yesterday, then, tomorrow 등이요.

서술어의 핵심 단어는 동사입니다. 영어는 동사를 가지고 문장의 시간을 표현합니다.

현재형, 과거형으로 하는데 미래형을 나타내는 동사 변형은 없어요.

미래형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해보겠습니다.

2개만 있으면 좋겠지만 영어는 완료라는 시제를 갖고 있습니다.

그 완료에 대해 이야기해 볼 거예요.

현재완료시제(시간의 표현)

문법책을 보면

“현재완료는 과거에서 시작된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거나 관련이 있거나 영향이 있을 때 사용한다”라고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Have + p.p.로 사용되며 계속/경험/완료/결과로 사용된다….

이렇게 설명을 하면 정말 외울 것도 많고 구분해야 되고 어렵고 그렇지요?

이렇게 여러 현재완료 문장을 가지고 계속이니 결과니 하면서 분류하고 나누고 하는 건 아마 시험문제를 만들기 위해 그러지 않았을까 생각이 듭니다. 흠흠..

그냥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 볼게요.

 

현재(present)~

I am hungry.

I have a dog.

동사의 현재형은 주어가 상대방에게 지금 이 순간은 어떤 것이 사실이라고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완료(perfect)~

완벽하게 끝난 겁니다. 상황 종료~

시험문제 10개가 있으면 10개 다 풀었을 때 완료입니다.

덜 풀었다면 미완료입니다.

 

,

현재완료는 “현재 완전히 끝마쳤다”라는 의미이며 형태는 동사의 현재시제 have와 동사의 과거분사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현재완료는 have 동사만 사용하나요?

 

전에(전부터) ~ 상황이나 상태가 쭈욱~이어져서 지금도 그 상태(상황)로 있어.

 

이 문장의 시제가 현재완료시제 기본형이라 볼 수 있습니다.

어쨌든 저째든 지금(현재)까지도 그런 상황이나 상태로 있는 것이기에 있다의 동사 have가 사용됩니다.

 그런 상황이나 상태로 완료되어 지금(현재)까지 있기에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여기저기서 자주 사용하는 예문을 볼게요.

I have lost my wallet.

I lost my wallet.

 

보통 이 두 개의 예문을 가지고 과거와 현재완료를 설명하기에 같이 살펴보도록 합니다.

첫 번째 문장은 현재완료시제 문장입니다.

두 번째 문장은 과거 시제 문장입니다.

첫 번째 문장의 동사는 have이고 현재 시제입니다. Lost는 동사의 과거분사형으로 형용사입니다.

두 번째 문장의 동사는 lost이며 과거 시제입니다.

첫 번째 문장의 동사는 have이며 의미는 주어한테 목적어가 있다.”입니다.와 get, be 등 자주 사용하는 동사의 해석 부분은 다음에 자세히 설명해 볼게요.

 

현재완료에 대해 글로 설명이 잘 될지 모르겠지만 시작합니다.

잘 보세요.

I(나는) have(현재 있어), lost(잃어버린, 상황), my wallet(내 지갑).

과거분사는 수동, 완료 등의 의미가 있습니다.

완료는 기존(과거)에 어떤 상황이 끝! 난 겁니다. 그래서 과거분사(The past participle)라고 하지요.

내 지갑을 잃어버린 완료된 상황으로 현재 내가 있는 겁니다.

즉, have는 현재형이기에 현재 주어가 목적어(사물, 상황, 상태, 기분 등)가 있다는 의미이고,

 

 그럼 계속/경험/완료/결과로 구분하는 예문을 볼게요.

Since나 for를 사용해 기간을 나타내면 계속이라고 하는데요.

Jinho have lived in Seoul for 3 years.

진호는 현재 있다. 거주하는 곳은 서울이고 3년째.

진호가 3년 전부터 현재도 서울에 거주하는 상태로 있다.

, 완벽하게 거주하는 상태(혹은 주소지가 서울로 등록 완료)로 완료가 된 거라는 의미입니다.

문법책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된 상태라 계속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지갑을 잃어버린 상태로 지금까지 있는 처음 문장도 forsince가 없지만 계속된 잃어버린 상태잖아요? ㅎㅎㅎ

Forsince는 현재 완료에서 언제 시작한 지 모르는 과거의 어느 시작점을 상대방에게 좀 더 명확히 알려주는 기능이라 생각됩니다.

 

Ever, never, before 등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있던 경험을 나타낸다고 분류하는데요.

He have never met her.

그는 현재 있다. 전혀 만난 적이 없는 그녀.

그는 현재 한 번도 그녀를 만난 적이 없는 상황이다.

Never는 전에 전혀 없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냥 문장을 꾸며주는 부사일 뿐입니다.

그녀를 만난 적이 있고 없는 게 경험인가요? ㅜㅜ

 

Just, yet 등과 사용하면 완료 용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현재 완료는 원래 완료입니다. ㅜㅜ

I have just finished homework.

나는 현재 있다. 방금/, 끝낸, 숙제.

나의 현재 상황은 숙제를 끝냈음을 표현한 문장입니다.

숙제는 어제도 그제도 있었지만 이제 제출해서 검사받아야 하는 숙제를 의미하는 겁니다.

또한 just를 사용해서 시간적으로 좀 더 세밀하게 표현한 겁니다.

현재 완료는 원래 완료입니다. Justyet이 없으면 완료가 아닐까요?

과거의 사건으로 인해 현재 나타난 현상을 결과 용법이라고 하는데요.

현재 완료는 주어가 현재 그런 상태로 완료되었고 그게 결과가 되는 겁니다.

 

가장 처음 나온 예제가 문법책에서는 결과 용법이라고 하는데요.

I have lost my wallet.

전에 지갑을 잃어버린 완료 상황이고 현재도 없기에 완료입니다.

지갑을 잃어버린 경험이 되었네요.

계속 잃어버린 상태로 지금까지 있으니 계속 용법입니다.

어떻게 표현하고 받아들이는지에 따라 경험, 계속, 완료, 결과가 되니 공부할 때 이런 부분으로 어려움을 겪는 듯합니다.

 

그렇다고 저렇게 분류하는 게 필요 없으니 알 필요 없다고 하면 시험문제 때문에 난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겁니다.

 

정리를 하면,

시험과 관계없이 영어를 공부하는 분들 -

현재 완료는 전에 어떤 상황이나 상태 등이 발생해서 현재도 그런 상황이나 상태가 주어에 있다.라고 생각하고 그 부분을 꾸미거나 강조하기 위해 부사를 사용하면 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시험문제를 위해 구분한다면,

예전의 상황에 대한 시작점을 상세히 표현하기 위해 기간(for)나 시작(since) 시점을 표현(계속)하고,
예전의 상황을 처음인지, 여러번인지 (경험도 포함)를 강조하기 위해 ever, never, before 등을 사용(경험)하고,
예전의 상황이 바로 직전에 완료되거나 완료를 못했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just, already, yet 등을 사용(완료)하며,
주어나 목적어가 현재 여기 없거나(도난이나 두고 온 경우)  사라져 버린 경우를 나타내면 결과로 이해하면 될까요? ㅎㅎ

 

현재 완료는 have + p.p 형태이며 계속, 경험, 완료, 결과로 구분할 수 있다로 암기식으로 공부를 하면 재미도 없고 이해도 안 되고 시간이 지나면 헷갈려서 또 틀리고.. 그래서 어렵다고 하는 듯해요.

먼저 현재 완료에 대해 이해하고 나서 시험 관련 부분을 정리하면 더 쉽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짧은 글이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길 바라고..

재미있는 영어를 위한 글이므로 참고만 하시고...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댓글 주세요...여기서 마칩니다.

즐공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동사원형 vs 부정사 vs 원형부정사 이해하기 편.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 티보이입니다.

영문법을 공부하다 보면 원형부정사, 동사원형, 부정사라는 용어를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그 내용을 공부하다 보면 말만 다르지 셋이 같다는 느낌이 들 겁니다.

그래서 연구해봤습니다.

먼저 간단한 용어 정리를 해 볼게요.

동사원형은 동사 verb의 기본 형태로 수, 시제, 인칭 등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한 모양 그대로의 동사를 말합니다.

부정사는 아닐 부, 정할 정으로 정하지 않았다는 말하며 명사, 형용사, 부사로 품사가 정해지지 않았다가 아니라 수, 시제, 인칭 등의 영향으로 동사의 형태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to를 붙여서 to부정사로 사용합니다.

예) 인칭에 의한 변화 (3인칭의 경우 일반적으로 –(e)s), 과거 시제인 경우 과거형으로, 단수인 경우)

원형부정사는 to부정사에서 to를 붙이지 않은 부정사를 말하는데 동사원형만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의미를 확인해 보니 세 가지 단어가 같은 말이네요.

그저 문법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동사원형, 부정사, 원형부정사로 다르게 부를 뿐 동사원형 그 자체라 볼 수 있습니다.

이하 동사원형이라고 통일하겠습니다.

동사원형은 의미적으로 동사 그 본질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clean이라는 단어는 청소나 치우는 등으로 깨끗이 만들다.라는 의미입니다.

, 결론적으로 clean은 다 치워져서 깨끗해진 상태를 말하는 겁니다.

 

Cook요리를 해서 음식이 완성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동사원형은 단어 본질의 의미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청소하는 중만 표현한다면 동사원형이 아닌 cleaning으로 ing를 붙여서 진행을 표현합니다.

 

다음 예를 볼게요.

 

엄마가 아들한테 방을 깨끗하게 치워라! 라고 명령을 합니다.

그럼 우리가 배운 대로 한다면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시작한다고 배웠습니다.

 

Clean your room!

 

이 됩니다.

왜 동사원형을 사용할까요?

엄마가 원하는 것은 단순히 방 치우는 것을 시작하는 것만 원하는 게 아닙니다. 도중에 덜 치우고 도망갈 수도 있겠지요?

또한 방을 치우고 있는 중이라 해도 그게 100% 원하는게 아닙니다. 이 또한 치우는 중에 도망갈 수 있기 때문이지요?

엄마가 아들에게 원하는 것은 방을 청소해서 완벽하게 깨끗한 상태로 만들기를 원하는 겁니다.

그게 동사원형 clean의 본질 의미입니다.

 

Cook도 마찬가지라 생각해보세요. cook이라는 단어는 요리하다입니다. 요리를 하다가 말면 우리는 요리했다고 말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동사원형 Cook의 본질의 의미는 요리를 해서 음식이 나와서 완료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 이제 원형부정사를 생각해보세요.

사역동사지각동사인 make, have, let, see, hear 등을 사용할 때는 목적격보어 자리에 동사원형 그대로 사용한다면서 이것을 원형부정사라고 하지요?

그냥 동사원형이라고만 표현하면 좋은데 같은 것을 이름을 다르게 부르니 다들 혼란스러워하는 듯합니다.

그럼 왜 사역동사와 지각동사에는 동사원형(원형부정사)을 사용하는지 예를 볼게요.

 

My mom made me clean the room.


엄마가 나한테 방을 깨끗이 하라고 했다. 는 문장입니다.

목적격보어인 clean이 동사원형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그런데 to clean도 아니고 cleaning도 아닌 동사원형인 clean이 사용되었습니다.

문장의 서술 동사를 보면 made라 과거인데도 말이죠.

보통은 to를 생략한 원형부정사라고 하면서 외우라고만 했지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적용해 보면 왜 동사원형(원형부정사)를 사용했는지 이해가 될 겁니다.

엄마는 나에게 시킨 것은 방을 깨끗하게 하기를(to clean)도 아니고

청소하는 중(cleaning)도 아니며

완벽하게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 완료(clean)하기를 원하는 겁니다.

이 의미를 갖고 있는 형태의 단어가 바로 동사원형입니다.

청소를 시작해서 청소를 하면서 깨끗한 상태로 완료시키는 게 clean의 의미라는 거죠.

 

I saw him enter the building.

 

나는 그가 건물에 들어가는 것을 봤다.

이 예문은 지각동사 see로 인해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원형부정사) ent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또한 같은 의미입니다.

내가 본 것은 그가 밖에서 건물 쪽으로 가서 건물 안으로 완전히 들어간 것을 봤다는 의미입니다.

 

다른 예를 보겠습니다.

조동사 뒤에 동사원형을 사용한다고 배웠을 겁니다.

이 또한 같은 원리랍니다.

 

I can eat this food.

 

나는 이 음식을 먹을 수 있다. 인데요.

Eat는 무엇을 입에 넣고 삼키는 행위입니다. 보통은 음식이지만 돌이나 기타 등등 먹는 경우도 있기에..ㅎㅎ

위 문장은 내가 할 수 있다는 것인 이 음식을 입에 넣고 삼키는 동작까지 해서 완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먹을 것(to eat)도 아니고 먹는 중(eating)도 아니고 내 능력은 입에 넣고 삼키는 것까지 완벽하게 끝내는 것(can eat)을 말하는 거예요.

그렇다면 그 의미를 갖는 동사원형을 사용해서 표현하는 겁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명령문, 사역동사, 지각동사, 조동사에 사용하는 동사원형(부정사, 원형부정사)는 동사 본질을 요구하기에 사용하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정말 많은 책과 자료를 찾아봤지만 완벽하게 설명해 주는 책이 없고 보통 공식처럼 외우기만 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라 힘들었답니다.

우리가 연구한 동사원형의 본질적 의미를 잘 생각해서 영어 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이 포스팅은 개인적으로 공부, 분석 그리고 연구해서 이해한 내용입니다.  재미로 또는 참고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댓글 주세요~ 즐공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