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576건

  1. 2022.08.28 [자바스크립트]함수 이야기 6탄, 함수 중첩 이해하기.
  2. 2022.08.22 [자바스크립트]함수 이야기 5탄 - 재귀 함수와 함수 스택 이해하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함수 중첩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자바스크립트는 함수를 만들 때 함수 내 함수를 또 선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함수를 중첩할 수 있다고 표현하는데요.

어떤 함수를 선언하고 그 내부에 다른 함수를 선언한다는 의미로 외부 함수, 내부 함수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중첩된 함수

내부 함수는 외부 함수내 포함이 되며 외부 함수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즉 폐쇄된 함수인데 자바스크립트에서 클로저(closure)를 형성하는 구조입니다.

내부 함수는 외부 함수에서만 호출할 수 있습니다.

이 내부 함수는 외부 함수의 블록 범위의 변수와 결합해서 클로저(closure)를 

형성할 수 있는데 클로저는 다시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쉽게 이해하자면 내부 함수가 자신을 포함(관리)하는 외부 함수의 인수나 변수를

물고 외부 함수의 수명이 끝났음에도 물고 있는 외부 함수의 변수를 내부 함수가

반환하지 않고 가지고 있으면서 폐쇄시킨다는 의미입니다.

중요한 것은 내부 함수는 자신을 품고 있는 외부 함수의 인수나 변수에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외부 함수는 내부 함수의 인수나 변수에 접근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function outer(a){
    var oa = 'out';
 
    function inner(i) {
        var ia = 'in';
        return oa + "==" + i;
    }
    console.log(ia);
    return inner(a);
}
 
console.log(outer('ok'));
cs

이번 예제를 보면 외부 함수 outer와 내부 함수 inner를 선언하고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예제는 오류가 납니다.

이유는 8번 라인이 문제입니다.

외부 함수 outer에서 내부 함수 inner의 변수인 ia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내부 함수는 외부 함수의 변수인 oa를 사용할 수 있지만 외부 함수는 내부 함수의 변수에 접근할 수 없기에 8번 라인처럼 사용하면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정의되지 않은 변수라는 오류가 발생하는데 외부 함수에서는 없는 변수를 사용했기 때문에 일어나게 됩니다.

 

그럼 내부 함수 내부에는 또 다른 함수를 만들 수 있을까요?

자바스크립트는 내부 함수 내에도 다시 함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중첩이 여러 번 되는 다중 중첩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너무 깊은 단계로 중첩이 이루어진다면 관리하기 불편할 수도 있답니다. 그래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이해하기 쉽도록 잘 정리해서 구현해야 하겠지요.

1
2
3
4
5
6
7
8
9
10
function stepOne(a){
    function stepTwo(b){
        function stepThree(c){
            console.log( a + b + c);        
        }
        stepThree(5);
    }
    stepTwo(3);
}
stepOne(2);
cs

 이 결과는 10이 나옵니다.

이렇게 함수 내부에 함수를 선언하고 또다시 그 내부에 함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이를 다중 중첩이라고 합니다.

주의할 점은 접근할 수 있는 범위(스코프, scope)입니다.

stepThree는 그 상위인 stepTwo, stepOne의 범위 내 모두 접근이 가능합니다.

이것을 체이닝 한다고 합니다. 체인처럼 연결된 고리를 따라서

위로 접근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stepOne은 stepTwo와 stepThree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stepTwo는 stepOne은 접근 가능하지만 stepThree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stepThree는 stepTwo와 stepThree를 폐쇄하게 됩니다.

즉 클로저를 형성한다는 의미입니다.

클로저라는 용어가 자주 나오는데 

다음 포스팅에서 클로저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함수 언어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함수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급객체이기도 한 함수는

자바스크립트로 프로그래밍하는데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과 특징을 잘 이해해서

실제 코딩 시 멋지게 사용하면 좋겠네요.

 

함수 이야기로 6탄을 만들었지만 아직도 

함수에 대한 이야기는 남아있습니다.

모두 즐 코딩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입니다.

요즘 자바스크립트에 시간을 많이 보내고 있는데요.

보면 볼수록 정말 어메이징 합니다.

빨리 자바스크립트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날이 오길 기대하며

오늘도 함수 시리즈를 같이 공부해봅니다.

 

재귀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혹시 factorial(팩토리얼) 함수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래밍 예제에서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함수인데요.

n! = n * (n-1) * (n-2) * ... * 1

4! = 4 * 3 * 2 * 1 = 24

이 공식을 함수화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function factorial(num) {
      if (num <= 1return num;
      else return (factorial(num - 1* num);
    }
    
    var rst = factorial(4);
    
    console.log(rst); //24
cs

위 소스를 보면 특이한 점이 있습니다.

함수 factorial을 선언하고나서 return문에서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도록 되어 있거든요.

뭔가 무한루프에 빠질듯한 이 상황을 바로 재귀(recursion)이라고 합니다.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한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무한으로 빠지지 않기 위해 조건이 들어가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 자신을 참조하기도 하고 호출할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에 대해 이전 포스팅에서도 확인했었는데요.

한 가지 더 알아보겠습니다.

 

arguments.callee 사용하는 방법

마지막으로 하나 더 arguments.callee가 있습니다.

뭔가 어려워 보이고 낯설어 보이는데요.

현재 범위에서 실행 중인 함수를 의미합니다.

함수 이름이 있거나 변수에 할당되어 있으면 다시 호출하기 편하지만

익명의 함수(이름이 없는)라면 실행 흐름에 따르거나 리턴되어 실행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로 다시 실행하고 싶다면 이름이 없기에 호출할 수 없겠지요.

그래서 arguments.callee(지금 실행하고 있는 너!!!)를 사용하면

마치 이름은 없지만 삿대질로 찍어서 익명 함수를 실행할 수 있는 그런 구조로 보시면 되겠네요.

 

다음 예를 보겠습니다.

1
2
3
4
5
var arr = [1,2,3];
 
console.log(arr.map(function (n) {
     return !(n > 1) ? 1 : arguments.callee(n - 1* n;
}));
cs

map을 실행할 때 익명 함수를 구현했습니다. function (n)

return에서 이 익명함수를 재귀 호출을 해야 하는데

이름이 없어서 불가능해 보이지만

arguments.callee(n - 1)로 호출이 가능합니다.

지금 실행중인 함수를 호출해줘~~ 라는 의미로 보면 되겠네요.

(어쨌든 함수 이름을 명시해서 가급적 arguments.callee를 지양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함수가 구현부 블록문 내에서 자신을 또 호출할 수 있고

이를 재귀함수라고 부릅니다.

무한 루프에 빠질 수도 있다고 했듯이

루프문으로 변환할 수 있고 그 반대로 루프문을 함수로 변환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경우는 아닙니다.)

재귀 함수는 함수 내에 자신을 또 호출하기에 

그 호출 시점 뒤의 로직을 거치지 않고 다시 처음으로 이동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호출 시점 후반부의 로직을 전혀 실행하지 않고 버리지는 않고

재귀 조건이 완료되면 나머지 부분이 호출됩니다.

 

함수스택은 무엇인가요?

그런데 이 부분을 자세히 알고 가야 합니다.

스택을 사용해서 함수를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바로 함수스택이라고 하는데요.

다음 예를 통해서 함수 스택을 설명해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function stackSample(n) {
    if (n < 0) {
        return;
    }
    
    console.log('before : ' + n);
    
    // 호출시점 
    stackSample(n - 1);
    // 호출시점 후반
    console.log('after : ' + n);
}
 
stackSample(4);
cs

이 소스를 보면, 우리가 함수 스택을 모른다고 가정하고, 

호출 시점 후반에 있는 after 부분은 절대 실행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렇게 재귀 호출을 하면

함수 스택을 사용해서 함수가 재귀 호출될 때마다 

스택에 담아두고 return을 통해 종료가 되면

마지막으로 담았던 함수의 후반부부터 차례로 실행을 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5번의 함수 스택이 처리되어서

after는 4, 3, 2, 1, 0 순으로 결과를 출력하게 됩니다.

예상 결괏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before : 4
before : 3
before : 2
before : 1
before : 0
after : 0
after : 1
after : 2
after : 3
after : 4
cs

이런 결과가 나오다니..

신기하네요.

 

지금까지 재귀 함수와 함수 스택에 관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함수 스택은 실전에서 잘 활용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