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동사란?

be동사(am, are, is)를 제외한 모든 동사가 일반동사로 생각하자.

be동사는 주어의 존재, 신분, 상태를 나타낸다면 일반동사는 행동, 표현 등을 나타낸다.

무슨 뜻일까?

다음 예문을 통해 확인해 보자.

(행동) He watches TV every night. (그는 매일 밤 TV를 시청한다.)

(표현) I love you. (나는 너를 사랑한다.)

위 예문처럼 일반동사는 주어의 행동과 표현을 위해 사용한다.

일반동사 부정문 만들기.

be동사의 부정문은 간단하다.

I am a boy. 

be동사 am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 not을 붙이면 된다.

I am not a boy.

일반동사는 방식이 다르다.

주어에 대한 행동과 표현을 나타내기 위해 일반동사를 사용한다.

am, are, is 대표가 be라면 일반동사 대표는 do로 볼 수 있다.

명사를 대신하는 대명사, 동사를 대신하는 대동사.

대동사 do가 일반동사 부정문에 사용된다.

그럼 일반동사 부정문을 만들어 보자.

We read an economics magazine every week. (우리는 매주 경제 잡지를 읽는다)

We do not(=don't) read an economics magazine every week. (우리는 매주 경제 잡지를 읽지 않는다)

be동사와 달리 동사 뒤에 직접 not을 붙이지 않고 do를 추가해서 뒤에 not을 붙이고 그 뒤에 원래 동사가 왔다.

예를 더 보겠다.

He likes playing the piano. (그는 피아노 치는 것을 좋아한다.)

He does not(=doesn't) like playing the piano. (그는 피아노 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3인칭 단수라 do가 아닌 does가 투입되고 뒤에 not이 오고 본동사 like가 왔다.

그런데 likes였던 본동사가 like로 사용되었다.

그 이유는 do 동사가 3인칭 단수 옵션을 가져갔기 때문이다.

과거시제의 부정문 예를 보고 do 동사를 다시 보겠다.

We watched a drama last week.(우리는 지난주 드라마를 시청했다.)

We did not(=didn't) watch a drama last week.(우리는 지난주 드라마를 보지 않았다)

본동사가 과거형 (watched)라 부정문으로 만들 때 do동사가 did가 되었다.

위 3인칭 단수인 경우도 do 동사가 does가 되었다.

부정문을 만들 때 공식 하나를 만들어 보자.

일반동사 평서문을 부정문으로 바꾸기 위해서.

1. 문장의 본동사에서 옵션(3인칭 단수, 시제)을 뺀다. 

2. 본동사에서 옵션을 빼면 동사원형이 남는다.

3. 주어 다음에 do 동사를 배치하는데 본동사에서 뺐던 옵션을 do에 적용한다.

4. 옵션이 적용된 do 동사와 본동사에서 옵션이 빠진 동사원형 사이에 not을 위치한다.

5. 만약 부정을 강조하고 싶다면 do와 not을 따로 써준다. (don't가 아닌 do not으로)

 

위 공식대로 한 번 시도해 보자.

She loves me. -> She doesn't love me.

1. 본동사 loves는 3인칭 단수로 -s가 붙어 있고 현재시제로 두 옵션을 본동사에서 뺀다.

2. 옵션을 빼면 동사원형 love가 남는다.

3. 주어 다음에 do 동사를 배치하는데 본동사에서 뺐던 옵션(3인칭 단수 -s, 현재시제)을 적용한다. She does

4. 옵션이 적용된 do 동사 does와 본동사(동사원형 love) 사이에 not을 넣는다. She does not love

5. 보통은 She doesn't love you.로 사용하지만 She does not love you! 라면 어떤가? 좀 더 강한 느낌으로 들리지 않는가?

 

He ate an apple last night. -> He didn't eat an apple last night.

1. 본동사 ate에서 옵션(과거시제)을 뺀다.

2. 옵션을 빼면 동사원형 eat가 된다.

3. 주어 다음에 do 동사를 배치하는데 본동사에서 뺐던 옵션 과거시제를 적용한다. He did

4. 옵션이 적용된 do 동사 did와 본동사(동사원형 eat) 사이에 not을 넣는다. He did not eat

5. 역시 강조하고 싶다면 do동사와 not을 결합하지 않고 따로 쓴다.

일반동사 의문문 만들기.

일반동사 의문문 만들기도 사실 부정문 만들기와 거의 비슷하다.

be동사는 주어와 동사 위치를 바꾸면 끝이지만 일반동사는 공식이 있다.

부정문과 비슷하다고 하니 예제를 통해 확인해 보자.

 

She loves me. -> Does she love me?

1. 본동사 loves에서 옵션(3인칭 단수 -s, 현재시제)을 뺀다. 

2. 옵션을 빼면 동사원형 love가 된다.

3. 문장 제일 앞(주어 앞)에 do 동사에 옵션을 적용해서 배치한다. Does she 

4. 주어 다음에는 반드시 동사원형(love)을 사용한다. 

 

He ate an apple last night. -> He didn't eat an apple last night.

1. 본동사 ate에서 옵션(과거시제)을 뺀다.

2. 옵션을 빼면 동사원형 eat가 된다.

3. 문장 제일 앞(주어 앞)에 do 동사에 옵션을 적용해서 배치한다. Did he

4. 주어 다음에는 반드시 동사원형(eat)을 사용한다.

마무리.

이제 우리는 일반동사를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일반동사의 부정문과 의문문을 현재시제와 과거시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다시 한번 공식을 복습하자면,

본동사 - 옵션(3인칭 단수, 시제)  = 동사원형.

Do 동사 + 옵션(3인칭 단수, 시제).

예비 중학생 아이를 위해 쉽게 설명해 봤다.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