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반응형

'Info & Life'에 해당되는 글 258건

  1. 2019.04.20 [Info_가전]전기요금측정기(어댑터, SJPM-C16) 서준전기 사용기
  2. 2019.04.18 [Info_가전]에어텍 아바네로1 공기청정기 후기
반응형

집에 여러 가지 가전제품을 사용하면서 이 제품은 실제 전기를 얼마나 사용하고 1시간에 전기요금이 얼마 나올까? 또는 대기전력은 얼마나 될까? 궁금해하신 적 있으시죠? 우리 집도 다양한 가전제품을 사용하면서 그런 점이 정말 궁금했지만 한 달에 한 번 나오는 전기요금 고지서만 보고 대충 많이 나왔네, 생각보다 적게 나왔네 하면서 궁금증은 점점 커져갔지요. 그러다가 어느 날 어떤 블로그에 가정용 전기요금측정기있다고 해서 자세히 읽어보고 쇼핑몰 검색을 했는데 마침 가격도 괜찮고 MADE IN KOREA 인 한국 제품 서준 전기의 전기요금측정기(어댑터, SJPM-C16)을 발견하고 구매하게 됩니다.

서준전기 전기요금측정기 (SJPM-C16)

짜잔! 색깔도 이쁘고 앙증맞게 생겼지만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서준전기 가정용 전기요금측정기(SJMP-C16)를 소개합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3만 원 안팎의 가격대를 구성하고 있어요.

서준전기 전기요금측정기 (SJPM-C16)

모델명 : SJPM-C16

제품명 : 전기요금측정기(어댑터)

정격 : 220VAC, 16A, 60Hz

전력 측정범위 : 0.1~3,520W

전기요금 측정범위 : 1~999,999원

제품 뒷면
콘센트에 꼽으면 액정이 활성화 됩니다.

현재 전력, 현재 전압, 현재 전류, 사용시간(일 시간 분)이 표시되고 가운데 측정 구간을 설정합니다.

우리 집은 아파트인데 현재 전압이 216V가 나옵니다. 보통 220V로 알고 있었지만 실제는 216V이네요.

화면 변경

화면 변경 버튼을 누르면 사용 전력, 예상 월간 전력, 사용 요금, 예상 월간 요금이 표시됩니다.

스마트폰 충전 시 요금이 얼마나 나올까? 우리 집 공기청정기는 전기를 많이 사용하지 않을까? 냉장고는 하루 종일 도는 데 전기요금이 얼마나 나올까? 제습기를 사고 싶은데 전기세 엄청 나오는 거 아닌가? 전기밥솥 보온일 때 전기요금 많이 나온다는데..

이런 궁금증을 단방에 해결해 주는 전기요금측정기. 간간히 우리 집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실제 전기 사용량과 요금, 그리고 대기전력 등을 측정해서 포스팅할 생각입니다.

대기전력 없음
대기전력 있음

여러분 가전제품을 보면 전원 버튼의 세로선이 동그라미 안에 있으면 대기전력이 없다는 뜻입니다. 즉 전원 코드를 꼽아놔도 괜찮다는 겁니다. 그리고 세로선이 동그라미를 뚫고 나와 있으면 대기 전력이 있다는 의미로 전원 코드를 꼽아두면 미세하기 전기를 소모합니다.

이렇게 전원 버튼 모양만 알아도 전기를 절약할 수 있게 됩니다. 혹시 뻥 아닐까 하는 생각에 전기요금측정기로 실험해 봤는데 역시 버튼 모양대로 결과는 나왔습니다. 항상 사용하는 제품은 아니지만 새로 제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대기전력이 궁금할 때 사용하면 괜찮은 제품인 건 확실합니다.

곧 눅눅한 여름이 다가오는데 많은 분들이 제습기에 관심이 많은 거 같아서 우리 집 위니아 제습기의 전기 사용량을 이 제품으로 측정해서 보여드릴게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궁금하신 점은 댓글을 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저렴한 가격대로 방에서 사용할 공기청정기를 찾던 중 에어텍 아바네로1 제품을 알게 되었어요. 필터가 뭔가 다르다고 광고하고 저렴하고 작지만 강력하다고 홍보하고 여하튼 기존에 봤던 공기청정기와는 전혀 다른 필터라 속는 셈 치고 구매하게 됩니다.

에어텍 아바네로1 공기청정기

구매하고 알게 된 것은 해당 제품이 마블 디자인도 있다는 겁니다. 디자인만 다른거 같고 필터나 사이즈는 같거나 비슷해 보였습니다.

우선 제품 사양을 간단하게 보겠습니다.

제품 사이즈 : 210*130

소비전력 : 1단 0.9w 2단 1.5w

필터 : e-나노필림필터 2개

포집 가능 오염물질 : 극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담배연기, 차량 배기가스, 꽃가루, 곰팡이, 바이러스, 알레르기(?), 세균, 박테리아,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벤젠

몇 년 사용하니 필터색이 회색입니다.

몇 년 사용해 봤는데 우선 작동 시 바람이 너무 약해서 필터를 분리했는데 컴퓨터 냉각팬 같은 걸로 작동됩니다. 필터가 앞 뒤로 있어서 흡입하고 분출하기엔 팬이 좀 약한 거 아닌가 싶은데 1단 작동 시 손을 대 보면 아주 미약하게 바람이 나오고 2단은 좀 더 나옵니다. 이렇게 나와서 방을 언제 다 필터링 하나? 싶기는 합니다만 미세먼지 측정기가 없고 필터가 점점 회색으로 변하는 거 보면 뭔가 거르는 게 맞습니다. 특히 흡입 쪽 필터가 심하게 색이 변합니다. 해당 필터는 1회성은 아니고 청소기로 빨아들이거나 물세척이 가능한 재사용 필터입니다. 5~7평(25제곱미터)을 커버한다는데 바람이 약한데 그게 가능한지 모르겠습니다. 성능 시험 결과도 있고 판매한 지 오래된 제품이라 거짓말은 안 할 거 같은데 나중에 꼭 측정기 사서

테스트해봐야겠어요.

1단 2단 off 스위치

근데 뽑기를 잘 못했는지 약간 겔겔 거리는 소음이 있어요. 구매 시 업체에 문의하니깐 원래 난다고 하는데 민감한 분은 잘 때 못 킬 거 같아요. 우린 그래서 거실과 주방에서 사용하고 있어요. 잘 때는 조용한 공기청정기를 사용합니다. 그래도 에어텍 아바네로1은 국내 생산 제품입니다. 근데 개선할 점이 있다면 팬을 좀 더 조용한 걸로 바꿨으면 합니다. 가격차이가 그리 안 날 건데 말이죠.

전원 소켓

위 사진을 보면 왼쪽에 검은 점이 보입니다. 커버를 씌울 때 본체와 매칭 하는 부분입니다.

양면 필터

필터를 보면 왼쪽은 전면, 오른쪽은 후면 필터입니다. 후면 필터가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라 먼지 등 오염물질을 1차로 거르는지라 색이 어둡습니다. 반면 전면은 2차 필터로 깨끗한 편입니다. 저걸 보면 1차에서 제법 오염물질을 거른다고 생각할 수 있겠네요.

 

먼지가 낀 팬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판단하는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팬을 보면 됩니다. 보통 팬은 필터를 통과한 깨끗한 공기를 순환시키는 지라 장기간 사용 시 팬이 깨끗하다면 먼지를 잘 거른다는 의미입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8만 원 정도의 공기청정기, 특별한 옵션은 없지만 조금 색다른 필터를 사용해 다양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필터를 세척해서 재사용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다양한 장점이 있네요.

개선할 점은 중간에 얘기했던 저소음 팬을 사용했으면 좋겠네요. 다양한 오염물질을 거른다니 차에서 사용하는 게 더 나을 거 같기도 해요. 시거잭으로 전원 연결하면 차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해당 제품을 궁금해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