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반응형

'신기한연구소'에 해당되는 글 287건

  1. 2020.10.21 [책 읽는 프로그래머]개발자가 공부해야 하는 이유
  2. 2020.10.20 [HOW]파이썬 프로그래밍 문자열 포맷팅 사용하는 방법, python formatted string, 왕초보
반응형

IT 개발 업체에 처음 취업했던 그때가 기억나네요.

델파이로 하드웨어 컨트롤을 하는 미니 프로젝트였는데..

초보에 처음 만드는 프로그램이어서 긴장도 많이 하고 걱정도 많았던 시절이었답니다.

20년이 지난 지금도 아직 모르는 것도 많고 새로운 분야가 계속 나오기에

공부를 하지 않으면 뒤쳐질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대학교 졸업해서 취업하면 공부는 안할거란 생각했는데 (그때도 공부를 잘하지 못했지만요. ㅎㅎ)

프로그래머로 살다 보니 수시로 공부를 해야 프로젝트도 뛰고

회의할 때 대화(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죠)도 되고

쪽팔리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더군요.

 

정직원(별 의미 없지만), 프리랜서를 하면서 다양한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 해봤답니다.

그럼 당연히 다양한 환경, 언어를 접하게 되고

다양한 프로그래머(개발자), 영업맨, 대표이사 등을 만나게 된답니다.

 

그러면서 느끼는 점이 있었다면 

공부하는 개발자와 그러지 않은 개발자는 정말 확연하게 차이가 났다는거에요.

 

한 번은 EAI와 Web Service로 BPM 프로젝트를 한 적이 있었답니다.

웹서비스(Web Service)? 우리가 보통 웹에서 홈페이지 만드는 건가?

그런 생각을 하면서 첫 미팅을 가게 되었답니다.

하지만 웹서비스는 웹에서 홈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아닌 

서로 다른 환경의 서버끼리 통신을 하는 기술을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WSDL, SOAP 등 정의도 알아야 했고 한 번도 사용해 본 적이 없었지만

인터넷 서점을 통해서 바로 Web Service 책을 구매하고 집에서 공부하고

실제 환경을 만들어 테스트까지 한 뒤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어요.

 

세상에 처음부터 알고 하는 것이 어디 있나요?

그러니 처음이라도 걱정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면 된답니다.

그때 팀원 중 한 명이 처음 접하는 환경이라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책을 소개해주고 빨리 읽으면 도움이 될 거라고 이야기해줬지만

결국 책도 안사고 관련 공부도 안 하고 버티다가 트러블만 만들고 떠났답니다. 

 

처음 접하는 언어나 환경에 대해 두려워하지 마세요.

걱정한다고 해결되는 건 없답니다.

우선 나에게 경력으로 또 하나의 기술과 환경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관련 책과 정보를 수집하세요.

그리고 기초부터 개념부터 차근차근 공부하세요.

직접 환경도 만들고 코딩도 해보세요.

 

그리고 프로젝트에 투입돼서 미팅을 하면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도 알 수 있고

심지어 책에서 보고 알게 된 내용으로 본인의 의견도 낼 수도 있답니다.

 

가장 좋은 교재는 관련사에서 제공하는 튜토리얼입니다.

그리고 서점에 가서 본인이 잘 이해할 수 있게 설명된 책을 선택합니다.

블로그를 통해서 부족함을 채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기존의 누군가가, 또는 주변 개발자가 만든 소스를

단순히 복사해서 사용하는 것은 주의해야 합니다.

본인이 이해하지도 못한 코드를 사용한다는 것은 버그의 원인이 되고

정말 심각한 경우는 프로젝트 폭탄이 될 수도 있습니다.

대충 복사해서 사용한 코드에서 심각한 버그가 발생했을 경우

처리를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있었던 일인데..

급한 마음에 다른 개발자가 만든 비슷한 화면을 찾아서

분석도 하지 않고 찾아내 복사해서 사용했던 적이 있었답니다.

그런데 업무팀에서 기능에 대한 변경을 요구했는데

베껴온 소스를 조금만 건들어도 오류가 나고 깨지는 현상이 발생했지요.

어떻게든 해보려고 했는데 이해도 잘 안 되고 짜증이 나더군요.

결국 다 지우고 제가 이해한 대로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재개발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처음부터 정석대로 개발했다면 오히려 시간도 절약되었을 텐데 말이죠. ㅎㅎ

개발 언어를 보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모듈,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

너무 많기에 다 기억할 수 없기에 문서로 제공하고 있고

검색 기능이 있기에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사용법에 대한 설명이 약하면 블로그 등을 검색해서 

예제를 찾아보면 됩니다.

 

초반에 조금 번거로울 수 있지만

프로 개발자라면

미리 공부를 해서 내가 만든 소스 코드는 

당연히 내가 이해하고 알아야 하며

버그가 발생해도 처리할 수 있고

언제든 변경할 수 있어야 합니다.

 

프로젝트 중 관련된 부분에 대한 정보나 지식이 없어서

금방 할 수 있는 업무 개발임에도

야근도 많이 하고 일정에 쫓기는 경우를 종종 봤답니다.

프로젝트 투입 전 관련 환경과 기술에 대해서

미리 준비하고 공부한다면

좀 더 쾌적한 프로젝트가 될 거라고 믿습니다.

 

다들 즐 코딩하세요.

아래 하트(공감) 버튼을 눌러서 더 다양한 글을 쓸 수 있게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입니다.

문자열의 출력하다 보면 중간에 원하는 변수의 값을 넣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포맷팅이라고 해서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보통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다 사용하거든요.

파이썬 프로그램은 어떻게 사용하는지 보겠습니다.

 

위 예제를 보면 2가지 특이한 점이 있습니다.

사실 처음 보는 구조이긴 합니다.

바로 파란색으로 표시된 'f'와 '{ }'입니다.

파이썬에서는 외부 변수를 문자열에서 호출하는 경우

먼저 제일 앞에 'f' 또는 'F'를 표시해서 포맷팅임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문자열 내 원하는 위치에 중괄호 { }를 사용해서

그 안에 원하는 변수명을 넣어주면 됩니다.

결과가 잘 나왔습니다.

 

이번 예제는 문자열 뒤에. format()을 사용했습니다.

원하는 위치에 중괄호{}만 넣고. format() 함수를 사용하고

함수의 입력 인자로 문자열의 {}에 들어갈 값을 순서대로 넣어주면 됩니다.

 

이번 예제는 숫자와 관련된 파이썬 포맷팅입니다.

중괄호는 이미 설명은 했고 :5.2는 자연수 자리는 5개, 소수점 이하 2개까지

표시하라는 의미입니다.

:2는 소수점 자리를 표시하는 것이고 :.2로 사용해도 됩니다.

자릿수 표시를 하지 않은 경우는 중괄호만 사용하거나 {:}로 사용해도 됩니다.

결과가 잘 나왔습니다.

 

여기까지 정리하면 문자열 내에 변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시작할 때 f 또는 F를 붙인 뒤 중괄호에 변수명을 넣어주거나

문자열 내에 중괄호를 사용하고 .format()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위 예제는 인덱스를 사용한 방법입니다.

중괄호 안에 .format()함수 내 인자의 인덱스 값을 넣으면

해당 위치에 값이 출력됩니다.

인덱스 {0}을 여러 번 사용해도 됩니다.

변수명과 인덱스를 혼용해서 사용해도 잘 되더군요.

 

마지막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0:#>5}를 분석하면 >는 오른쪽으로 정렬을 의미하며

5는 공간이 5라는 의미이며

빈 공간은 #으로 채우라는 의미입니다.

그럼 <는 왼쪽 정렬을 의미하고

^는 가운데 정렬을 의미한다고 보면 되겠네요.

결과는 깔끔하게 잘 나왔습니다.

잘못된 정보나 수정이 필요하면 댓글 주세요.

아래 하트(공감) 버튼을 눌러서 더 다양한 글을 쓸 수 있게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