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름이 얼굴에 튀어 화상을 입고 화상전문 병원서 치료한 뒤 실비보험(실손) 청구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갑작스러운  화상사고

오랜만에 집에서 김치전을 만들고 있었다.

평소 쓰던 프라이팬은 편평했다.

이번에 구매한 프라이팬은 가운데가 약간 볼록했다.

그래서 기름을 두르면 테두리 쪽으로 흘러내렸다.

뭣이 급했을까?

빨리 뒤집는다고 프라이팬을 가득 채운 김치전 한 판을 뒤집개로 확 뒤집는 순간...

반바퀴 돌면서 뒤집히던 김치전은 프라이팬 테두리 쪽에 모여있던 기름을 탁~때렸다.

순간 기름이 튀었다.

얼굴이 따끔했다.

평소에 요리하다 튄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바로 알았다.

큰일이다!

바로 싱크대로 가서 물을 틀고 기름이 튄 부분을 씻었다.

그나마 다행인 건 눈이 안 다쳤다. 

조금만 위로 튀었으면~~ 아찔하다.

별생각 없이 손에 물을 묻혀서 닦았다. 

그리고 거울을 봤다.

헉~ 피부가 벗겨지고 빨갛게 색이 변해 있었다.

그냥 흐르는 물에 얼굴을 댔어야 했나?

아~ 얼굴 화상이라니... 계속 따끔거렸다.

 

병원에 가자. 근데 일요일이네... 응급처치

손톱 크기의 화상자국.

병원에 가야겠다.

응급실을 가야 하나? 주말도 하는 가까운 병원에 갈까?

응급으로 소독이라도 해야겠다 싶어 자주 다니는 가까운 가정의학 병원에 갔다.

사진: Unsplash 의 Hush Naidoo Jade Photography

그런데...

접수하는 직원이 안된단다. 왜?

얼굴 화상이라 미용적인 부분도 있고 혹시 흉터라도 생기면 문제가 될까 그런단다.

괜찮으니까 응급처치라도 해달라고 했다.

잠시 고민하더니 접수해 줬다.

내 차례가 왔고 의사쌤이 빨간 소독약으로 소독하고 연고를 바르고 거즈를 붙여줬다.

실마진인가? 화상치료크림(연고)과 항생제를 처방해 줘서 약국에서 샀다.

집으로.

아직은 따끔거린다.

집에 와서 동생한테 전화했다.

무조건 화상전문병원으로 가란다.

갑자기 근처 화상전문병원이 생각났다.

저녁에 처방받은 화상치료크림(연고)으로 다시 드레싱 했다.

생각해 보니 어릴 적 학교에서 과학실험하다 뜨거운 비커에 손이 데인적이 있었다.

그땐 잘 모르니 후후~ 불고 손을 흔들어 열을 식혔다.

엄청 아팠고 나중에 물집도 생겼던 기억이 있다.

지금 얼굴의 화상엔 물집은 없다.

피부가 벗겨져서 그런 건가? 

아직은 따끔거린다.

 

화상전문병원.

가까운 곳에 화상전문병원이 있다.

지나가다 본 화상전문병원을 가게 될 줄이야.

근처 전문병원이 어디에 있는지 미리 알아둬야겠다.

아프거나 다쳤을 때 초기에 빠른 대응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아침 일찍 오픈 10분 전에 갔다.

벌써 3팀 정도 환자가 와 있었다.

접수하고 기다리면서 깜짝 놀랐다.

9시가 넘자 대기실이 꽉 찼기 때문이다.

화상환자가 이렇게 많았다니... 게다가 영유아 어린이까지 많았다.

조금만 늦었어도 엄청 기다릴 뻔했다.

진료시작 30분 전부터 접수받는다고 하니 좀 일찍 와야겠다.

진료실에서 기다리면서 주변에 붙은 화상 관련 포스터나 영상을 봤다.

정말 화상 사고가 안 생기게 조심해야 된다.

심하면 흉터가 평생 가기 때문이다.

내 주변에도 팔이나 목 등에 화상 흉터가 있는 지인들이 있다.

대부분 어릴 때 뜨거운 물에 사고를 당했다고 한다.

집에 애들한테 라면 끓일 때 조심하라고 지나칠 정도로 당부한다.

처치가 끝나고 드레싱용 폼을 붙여줬다.

1-2도 화상에 사용하는 폼이라고 쓰여 있다.

상처 났을 때 약국에서 파는 메디폼? 그런 비슷한 느낌이었다.

의사쌤이 화상 부위를 보고 다행히 심하진 않다고 했다.

일주일 정도 드레싱 잘하면 흉터도 거의 없을 거라고 했다.

 

집에서 드레싱 하는 방법

진료가 끝나고 직원이 잠깐 따라오라고 했다.

모니터에는 드레싱하는 방법에 대한 이미지가 있었다.

기존 드레싱을 제거 한 뒤 깨끗한 물로 씻으라고 되어 있다.

소독약은 사용하지 말라고 한다.

연고는 소량만 사용하고 폼을 살짝 붙이고 테이프로 고정하면 된단다.

여기서 잠깐!

물로 씻는다고? 동생은 절대 물 닿으면 안 된다고 했는데?

그래서 물었다.

물로 씻어도 되나요? 그렇단다. 

비누로 씻어도? 그렇단다.

집에서 드레싱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들었다.

궁금한 거 물어도 잘 설명해 줘서 좋았다.

병원비랑 약제비 해서 2만 8천 원? 정도 나왔다.

이후로도 병원비가 2만 원 초반대가 나왔다.

 

약국으로.

안내문 받고 드레싱용 폼, 테이프 그리고 상처용 무피로신 연고를 받고 약국으로 갔다.

혹시 아플 수 있으니 진통제를 처방해 줬다.

처음 병원에 가서 받은 화상치료크림(연고)이 아니었다.

약사쌤한테 물어봤다.

그건 의사쌤마다 다르다고 했고 둘 다 치료용 연고라고 했다.

화상전문병원에서 준 처방에 따르기로 했다. ^^

 

이후 치료.

이제 부침개 만들 때 고글을 써야 하나?

마침 고글이 집에 있다.

매일 병원에 드레싱하러 갔다.

일주일 정도는 따끔거렸다.

일주일을 마지막으로 병원 진료를 마쳤다.

그리고 흉터용 겔을 받았다.

건강보험이 안 되는 연고라 가격이 비쌌다.

흉터용 영국제 연고였는데 예전에도 비슷한 거 받은 적이 있다.

화상으로 피부가 벗겨져서 준 듯했다.

 

실비보험청구(실손).

치료가 끝나니 이제 보험청구할 때가 되었다.

이번 화상으로 병원비와 약값으로 무려 20여만 원이 나왔다.

나에겐 실비로 지원받는 실비보험이 있다.

1세대로 질병시 병원+약국 포함 자기부담금 5천 원인 보험상품이다.

사진: Unsplash 의 Scott Graham

화상은 질병이 아닌 상해로 자기부담금이 없다. 

100% 전액 지원받는다는 의미다.

 화상전문병원은 처음이라 보험사 고객센터에 문의했다.

당연히 실비지원이 된다고 한다.

보장내역에 보니 화상진단금과 화상수술비가 있다.

수술은 안 했으니 패스~

화상진단금에 대해서도 물었다.

심재성 2도 이상의 화상에 대해서 준다고 한다.

모든 화상이면 주는 줄 알았는데... 궁금증 발동!!

약관을 읽어보니 심재성 2도부터 화상진단금이 나온다고 쓰여있다.

마지막 진료 때 물어보니 이 화상은 표재성 2도라 못 받는단다.

심재성2도면 수술을 해야 할 정도로 심한 화상이라고 한다.

내가 가입한 실비보험을 그렇단다. 

보험상품, 세대별로 다를 수 있으니 가입한 실비보험(실손) 약관을 꼼꼼히 살펴보자.

 

실비보험 청구서류.

화상이지만 상처치료개념이라 서류가 간단했다.

청구 시 제출했던 서류 목록이다. 

1. 세부내역서(무료)

2. 병원비/약재 영수증(도장 찍혀있음, 무료)

3. 질병코드가 있는 처방전(무료)

요청 서류는 보험사마다 다를 수 있다.

추가 서류가 필요하면 보험사에서 연락 오니 걱정 안 해도 된다.

청구하고 3-4일 후 입금되었다.

화상 사고 시 응급처치

병원 대기실에서 본 내용을 공유한다.

병원 오기 전에 알고 있어야 할 중요한 내용 같다.

1. 시원한 물에 15분 이상 열기를 식혀야 한다. (냉장고 물이나 얼음 안됨)

2. 물집이 터지지 않게 한다. (옷을 입은 상태면 억지로 벗지 말고 가위로 잘라서 터지지 않게 한다.)

3. 이동시 물에 젖은 수건으로 상처를 덮고 화상병원으로 간다.

4. 상처에 소독약을 직접 쓰는 것을 삼가라고 한다.

5. 치약, 소주, 감자, 된장, 알로에 등을 상처에 처지하지 마라고 한다.

이런 정보는 모두가 알고 있으면 좋겠다.

그리고 가까운 화상전문병원도 미리 알아두자.

더 자세하고 많은 정보는 화상전문병원 블로그, 홈페이지에서도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안 다치는 게 최고다. 

 

얼굴 화상으로 화상전문병원에서 치료받고 실비보험 청구한 이야기 끝.

 

반응형
반응형

C 언어 포인터 시리즈 1탄!

 

인공지능 개발자가 되고 싶은가?

대학에서 컴퓨터공학(컴공) 전공인가?

C 언어를 배우고 싶은데 포인터(Pointer)가 어려워서 힘든가?

C 언어 하면 딱 떠오르는 것! 어려워 어려워.

바로 포인터다. Pointer.

나도 처음 C 언어 포인터(Pointer)를 공부할 때 정말 헷갈렸다.

방금 이해한 듯했지만 다시 보면 또 틀렸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제대로 쉽게 정리하고자 한다.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쉽게 설명했으니 천천히 읽어보길 바란다.

C 언어 포인터(Pointer)란? 

C언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르면 C를 할 수 없는 그 포인터의 정의를 내려본다.

정의 : 포인터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

이것이 무슨 말일까? 메모리 주소를 저장한다?

변수는 값을 저장한다.

데이터 형에 따라 지정된 값을 저장한다. 

C에서 기본 데이터 형은

정수형 (int, short, long, long long),

실수형 (float, double, long double).

문자형 (char)

불린형, void형이 있다.

예를 들어보자.

정수형 int에는 실수형이나 문자형을 저장(할당)할 수 없다. 

사이즈에 맞게 정수만 저장 가능하다.

문자형 char에 숫자를 저장할 수 없다. ('3'처럼 따옴표를 붙이면 숫자가 아닌 문자임)

포인터 변수는 메모리 주소값만 저장 가능하다.

다시 강조한다.

포인터 변수는 숫자, 문자가 아닌 메모리 주소값만 저장 가능하다.

 

주소연산자 '&'와 메모리 주소

메모리 주소는 무엇을 의미하고 어떻게 쓰는가?

메모리에는 1byte 당 물리적 주소값이 있다.

10진수나 16진수로 표현할 수 있고 집주소처럼 번지값이 정해져 있다.

결과 : int_size=4

int 형 사이즈는 4byte다.

int 형으로 변수를 선언하면 4byte, 4개의 주소를 사용한다.

메모리

빨간색 숫자인 1001~1004까지가 int 형 변수 길이다.

5열 int 형 변수 i 선언 및 값 저장

위 코드 5라인을 보면 int 형 변수 i를 선언하고 바로 100을 저장(할당)했다. 

실행하면 int 형 i는 메모리 어딘가에 저장된다.

메모리 주소는 어떻게 확인할까?

바로 주소연산자인 &를 붙이면 된다.

주소를 확인하는 코드를 보자.

위 코드 8~10에서 printf 안에 &i 형태로 변수 i 앞에 주소 연산자 &를 붙였다.

빌드 후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7번 라인은 i에 저장된 값 100을  출력했다.

8번 라인의 %d 결과는 6291100으로 변수 i의 주소값이 정수로 출력했다. (%d는 정수 매칭)

9번 라인의 %p 결과는 16진수로 출력했다. (%p는 포인트주소 16진수 매칭)

10번 라인의 %u 결과는 6291100으로 변수 i의 주소값이 정수로 출력했다. (%u는 포인트주소 10진수 매칭)

이제 우리는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주소연산자&를 붙여서 얻는 방법을 알았다.

정리하면,

변수 i만 사용하면 변수에 저장된 값 100을 꺼내오고

주소연산자(&)를 변수 앞에 붙인 &i는 주소값 6291100을 꺼내오게 된다.

 

참조연산자, 역참조연산자, 포인터변수 선언  '*' 

그렇다면,

주소연산자(&)로 받은 주소값은 저장할 수 있는가?

키보드 숫자 8에 있는 * 참조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역참조도 있지만 쉽게 참조로 통일)

* 참조연산자는 주소(&)지의 문을 열어준다. 라고 생각하자.

주소지에 가면 주소값만 보인다.

주소지를 찾아가 문을 열고 실제 저장된 값을 보거나 또는 값을 다른 저장하려면 * 참조연산자가 필요하다.

* 참조연산자가  주소값을 가지고 찾아가 문을 연다.

이해가 되었는가?

사용 방법을 보자.

주소를 받을 포인트 변수가 필요하다.

처음 설명했던 부분이다.

포인터 변수는 메모리 주소값만 저장 가능하다.

참조연산자 를 사용하면 포인터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

int* pa; 또는 int *pa;로 선언한다. 

int형 변수의 주소값을 저장하는 포인트 변수 pa를 선언한다.

*을 붙여 선언했으니 너는 이제 포인트형 변수가 되었다~라는 의미다.

*을 달고 pa에 저장된 주소값 위치로 가서 문을 열 수 있다고 이해하자.

 

int a = 10; 으로 변수 a를 선언하고 10을 저장한다.

pa = &a; pa는 변수의 주소값만 저장할 수 있다.

*로 선언된 포인트 변수 pa에 원하는 변수에 & 사용한 주소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잠깐! pa 앞에 왜? *가 없는가?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pa에 *를 붙이게 되면 pa에 저장된 주소(&a)로 가서 변수 a의 데이터를 꺼내거나 저장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pa에 주소를 저장하려면 * 붙이면 안되는 이유다. 

만약 *pa = &a;로 하면 오류가 나는데 이유는 *가 붙었기에 *pa는 해당 주소지에 가서 문을 열고 저장하려고 한다.

하지만 저장하려는 &a는 주소값이라 저장할 수 없어서 오류가 난다.

만약 주소를 받으려 했다면 포인트 변수로 선언한 pa가 저장된 주소지로 가서 문을 열게 하지 말고(* 없이)

pa를 사용해서 주소값(&a) 을 받아야 한다.

pa는 주소값을 받으려 int형으로 선언된 포인트 변수이기 때문이다.

 

int b; 선언하자.

b = &a; 는 오류가 난다. 왜? b는 포인트 변수가 아니라 주소값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b = pa; 도 오류가 난다. 왜? pa에 a의 주소값이 저장되어 있다.

그런데 포인트 변수가 아닌 b에 시도했기 때문이다.

b = *pa; 는 어떨까?

*pa는 *가 붙어서 pa에 저장된 주소지로 찾아가 문을 열고 안의 값을 꺼내서 b에게 준다.

오류 없이 잘 실행된다.

 

주소연산자&와 참조연산자* 코딩하기

간단한 포인터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자.

5번 라인 : int형 변수 a를 선언하고 숫자 100을 저장(할당)한다.

6번 라인 : int형 변수 b를 선언만 한다. 

8번 라인 : int형 포인트 변수 pa는 *을 사용해서 선언한다. 너는 이제 주소값만 받을 수 있다.

9번 라인 : int형 포인트 변수 pa는 &a 주소값을 저장해라!

10번 라인 : pa에 *가 붙어있다. pa에 저장된 주소값(&a)을 찾아가 그 값(100)을 받아 int형 변수 b에 저장해라!

12번 라인 : pa에 있는 주소값(&a)를 int형 변수 b에 저장하라! 안됩니다!!!!! 변수 b에는 정수만 가능합니다. 

주소값은 *이 붙여진 포인트형으로 선언된 변수만 가능합니다!!!

 

이제 포인트 변수, 참조연산자 *와 주소연산자 &에 대한 이야기가 끝났다.

기본 데이터형인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에 적용된 이야기다.

배열, 문자열처럼 열이 들어간 데이터 형은 사용함에 다른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은 다음 시리즈에서 다뤄볼 예정이다.

사진: Unsplash 의 James Harrison

마지막으로,위 11번 라인을 보면 

b=*&a;

로 코딩되었는데 무슨 의미일까?

다음 시리즈에서 알려주겠다!

^^열코딩!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