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반응형

'Software'에 해당되는 글 193건

  1. 2023.05.20 VSCode 설치하는 방법. (visual studio code,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2. 2023.05.07 [자바스크립트]Promise 쉽게 이해하기 편. 프라미스, then(), async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입니다.

보통 이클립스(eclipse)에서 많은 개발을 했었고 예전에는 울트라 에디트나 에디트 플러스에서 코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요즘은 프론트엔드 뿐만 아니라 백엔드도 VSCode(visual studio code, 비주얼스튜디오코드)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개발을 시작하는 분들.

VSCode를 설치하라고 하는데 어떻게 설치하는지 같이 설치해 보겠습니다.

윈도우즈 11 운영체제입니다. (Windows 11)

1. VSCode 사이트를 방문.

https://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code.visualstudio.com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 이미지를 화면 왼쪽에서 볼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에 맞게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을 겁니다. 다운로드를 클릭합니다.

클릭과 동시에 브라우저 하단에 다운로드가 진행되고 Getting Started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설치하기

이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설치를 시작합니다.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보면 1.78.2라는 숫자가 있는데 버전입니다. 업그레이드되면 버전의 숫자가 올라갑니다. 그래서 위 이미지의 파일에 있는 숫자보다 여러분의 파일의 버전은 더 클 수 있습니다.

개발자 코딩시 아주 유용한 VSCode(Visual Studio Code)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Visual Studio의 스크립트 코딩용이라는 생각도 문득 드네요. 

라이선스를 읽어봤는데 사이트에서 받은 그대로 설치하고 사용한다면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동의합니다. 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설치위치를 정할 수 있습니다. 특이사항이 없다면 그냥 다음을 클릭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최소 342.5MB의 디스크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고 하니 이 부분은 체크가 필요해 보입니다.

보통 시작 메뉴 폴더를 만들지 않음은 체크가 비어 있습니다. 저는 항상 저 부분을 체크합니다.

이제 다음을 클릭합니다.

아이콘 추가와 기타 설정에 대한 부분입니다. 본인 취향에 맞게 선택하면 됩니다. 저는 바탕 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를 선택했습니다. 바탕 화면에 바로가기를 두면 편하니까요.

선택을 끝냈다면 다음을 클릭합니다.

 

이제 설치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혹시 변경하고 싶은 설정이 있다면 뒤로를 클릭하세요.

이제 설치를 클릭합니다.

 

이제 자동으로 설치가 됩니다.

축하합니다. 이제 여러분은 성공적으로 VSCode를 설치하였습니다.

앞으로 다양한 프로그래밍을 VSCode를 사용해서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는지 실행해 보겠습니다. 

 

3. 실행하기

종료 버튼을 클릭하면 체크된 대로 Visual Studio Code가 실행됩니다.

 

기본적으로 검은색 배경으로 되어 있네요. 검은색 배경으로 코딩을 하면 한결 눈이 편하답니다.

지금까지 마이크로 소프트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MicroSoft Visual Studio Code)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모두 즐 코딩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기한 연구소입니다.

최근 Vue.js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자바스크립트 Promise 객체의 then()을 봤습니다.

무엇일까요?

비동기를 지원하는 객체를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JavaScript의 Promise 객체입니다.

 

비동기(async)란?

혼자 요리를 할 때 당근, 양파, 감자 등 재료를 도마 위에 순서대로 손질을 합니다. 동시에 모든 재료를 손질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나씩 재료를 손질하면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없습니다. 이것을 동기라고 합니다.

재료 손질하기 전 가스레인지에 물을 담은 냄비를 올리고 끓입니다. 물이 끓을 동안 일하면서 간단하게 먹을 간식을 전자레인지에 넣고 1분을 설정하고 시작버튼을 누릅니다.  전자레인지가 작동하는 동안 도마 위의 재료를 손질합니다. 1분 뒤 전자레인지에서 완료되었다는 소리가 납니다. 간식을 꺼내옵니다. 그리고 다시 도마 위의 재료를 손질합니다. 10분 뒤 물이 끓어서 가스레인지 불을 끕니다. 이렇게 가스레인지나 전자레인지를 작동시키고 완료될 때까지 도마 위의 재료를 손질할 수 있는데 이를 비동기라고 합니다. 즉, 다른 작업을 시켜놓고 완료될 때까지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mise 란?

const my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업무 프로세스

});

방금 javascript의 promise 객체 (myPromise)를 생성했습니다. 객체는 new 키워드와 생성자 Promise()를 통해서 만들어집니다. 생성자는 실행(executor) 함수를 인자로 받습니다. 실행 함수는 resolve 함수 및 reject 함수 인수를 전달하는 함수입니다. 실행 함수는 비동기 (async) 작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동기 작업의 결과는 언제 올지 모릅니다. 그래서 promise 객체를 사용해서 해당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실행 함수내 비동기 (async) 작업을 실행하면 두 가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바로 성공 또는 실패입니다. 작업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었다면 executor(실행 함수)의 첫 번째 인자인 resolve 함수를 호출해서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오류가 발생하면 두 번째 인자인 reject 함수를 호출합니다.

호출한다는 의미가 사실 좀 이해하기 힘들었습니다. 어떻게 호출을 하는것일까요?

위 예제는 아주 간단한 Promise 예제입니다. 비동기(async) 실행 함수는 setTimeout()으로 대체했습니다. 여기서 Promise() 생성자의 인수 실행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행 함수는 2개의 함수형 인자를 갖고 있습니다. 위 예제는 정상 처리된 경우엔 첫 번째 함수형 인자인 resolve를 호출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setTimeout()이 시작하고 정상 처리가 된다면 '로그1'을 출력합니다. 그리고 resolve('해결') 함수를 호출했습니다. 호출하면 어떤 이벤트가 일어날까요? 사실, 실행 함수에서 resolve()를 호출해도 눈에 보이는 결과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사용하는 것일까요?

위 13번째 라인을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예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출력됩니다.

'로그3'이 출력된 위치를 잘 확인하세요. 바로 여기서 resolve()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초 동안 setTimeout()이 대기하지만 (비동기처럼) '로그3'은 기다리지 않고 출력됩니다. 그렇게 소스의 끝부분까지 가고 종료가 되었습니다. 3초 후 '로그1'이 출력되고 resolve('해결')이 실행됩니다. 앞에서 얘기했듯이 resolve는 실행돼도 눈에 보이는 결과가 없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13번 라인의 myPromise.then이 실행되고 .then도 실행되었습니다. 해당 console.log가 실행되면서 '해결', '해결1'이 출력되었습니다.

new Promise 생성자 내 실행 함수에서 resolve()를 호출하면 생성된 promise객체(myPromise)의 then()으로 연결되어 호출됩니다. 둘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then .then으로 호출을 하면 계속 연결되고 그 값을 이어받을 수 있습니다. 

resolve 함수 내 인수는 어떤 타입의 값도 넣을 수 있습니다. resolve(배열), resolve(객체)... 

보통은 비동기 실행 함수를 시작하고 결괏값을 받으면 그 결과에 대한 값 또는 원하는 처리값을 resolve() 인수로 담은 후 호출하도록 구현합니다. 비동기 실행 함수가 실행 완료되면 resolve()를 호출하게 구현하고 myPromise.then(인수)가 구현되어 있으면 해당 then의 인수로 그 값을 전달받게 됩니다. 물론 비동기라서 해당 then이 지나가고 '로그3'이 찍혔지만 resolve가 호출되면 myPromise.then()을 실행하게 됩니다. 멋지네요.

17라인을 보면 .then이 보이는데 두 번째 then입니다. 위 예제에서는 두번째 .then()도 실행했습니다.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resolve()를 실행하면 myPromise.then()으로 연결되어 실행됩니다. 두번째 .then()은 myPromise.then()의 return을 통해 연결됩니다.

then()에서 다음 then()으로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return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 값도 인수로 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turn을 잊지 마세요.

마지막으로 catch()가 있습니다. 이 내용은 실행 함수의 두번째 인자인 reject와 연결되게 되어있습니다. 

위 예제를 보면 resolve 대신 reject를 사용했습니다. 이 함수는 실행 함수가 오류 발생 시 작동하게 됩니다. 사실 위 setTimeout이 오류가 난 것은 아닙니다. 오류가 난 경우에 개발자가 reject를 호출해서 오류를 처리하라는 의미입니다. 정상이면 resolve, 오류면 reject를 개발자가 직접 상황에 맞게 호출하고 구현해야 합니다. 

이렇게 reject를 호출하면 then은 무시되고 catch를 찾게 됩니다. 다행히도 18번째 라인에 catch가 구현되어 있고 해당 메서드가 호출되면서 로그를 출력하게 됩니다.

'오류'가 출력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비동기 실행 함수를 제대로 처리하기 위해 promise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성공하면 resolve, 실패하면 reject를 호출하도록 구현해서 then과 catch와 연결하고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하나 더!

실행 함수를 보면 resolve, reject라는 명칭을 사용했습니다. 이 이름 자체는 정해진건 아닙니다. 원하는 이름으로 정하고 그 이름대로 호출하면 됩니다.  rsl, rjt 이렇게요.

사실 자바스크립트 Promise에는 resolve()와 reject()라는 메서드가 있습니다. 같은 기능으로 다음에 사용법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아마 이 메서드 이름 때문에 resolve, reject라고 인수명을 정한 거 같습니다. JavaScript Promise 객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반응형